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y the trend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on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 Korea. I analysed the study on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 Korea in terms of the concepts and categories proposed by Elbaz. F. I distinguished between the theoretical research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with qualitative case study. The theoretical research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 Korea includes the meaning of teaching activity, reflective thinking on teaching, practical knowledge and instructional effectiveness improve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themes and contents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are very various. In Elementary Education, instructional dilemmas, subject-matter Education, teaching methods, and teacher's professional socialization are discussed. In Secondary Education, analysis of structure of instruction, cause-effect analysis are argued. I suggested that First, we should more apply qualitative case study, Second, we should interest various peoples' life which closely related with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Third, we should continually study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 view of teachers' professional growth. Fourth, we should carry out a policy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엘바즈의 실천적 지식의 내용, 정향, 구조라는 분석틀에 근거하여,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관한 국내 연구를 내용과 대상 면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실천적 지식에 관한 이론적 연구들은 교수 행위의 의미, 반성적 성찰, 실천적 지식과 수업 개선 등을 주제로 연구되었으며, 유아교육 분야에서는 실천적 지식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초등에서는 수업 딜레마, 교과교육, 교수방법, 교직 사회화, 실행 연구, 수업 이해, 수업 비평 등으로 연구 주제가 매우 다양했다. 중등에서는 수업의 구조 분석, 수업 현상에 대한 인과적 분석 등이 주로 이루어졌다. 실천적 지식에 관한 연구의 향후 과제로는 현장 사례 연구를 활성화할 것, 교사를 포함한 교육 현장의 여러 당사자들이 지닌 실천적 지식에 관한 연구를 할 것, 교사 전문성 발달의 관점에서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연구를 수행할 것, 종단 연구를 시도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목차
I. 서론
II.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관한 국내의 연구 동향 분석
1. 분석의 토대
2. 분류의 준거
III.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관한 국내 연구의 과제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