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색생지와 가뭄지수의 상관성 분석

원문정보

Correlation Analysis of Vegetation Index and Drought Index

김경탁, 박정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뭄은 인간이 극복하기 힘든 자연재해로 시간규모가 다양하고 누적된 효과가 천천히 나타나기 때문에 인지가 어려우며 이로 인해 피해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최영진, 1995). 가뭄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해서는 가뭄의 감시(Monitoring) 체계가 필요하고, 객관적이고 널리 적용될 수 있는 가뭄의 정의와 가뭄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지표가 필요하다. 기상학 및 수자원에서는 가뭄 감시를 위해 현 상태에 대한 정량적인 가뭄심도를 나타내는 가뭄지수를 사용하고 있으며 원격탐사 분야에서는 다중시기의 식생지수 및 지표면 열지수 등을 활용하여 가뭄여부를 판단하는 노력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10년간 남한의 가뭄시점에 대한 가뭄지수 분석을 통하여 가뭄의 심도를 파악하였고, 정규식생지수(NDVI)와 식생상태지수(VCI)를 활용하여 가뭄현황을 판별하였다. 또한, 식생지수와 가뭄지수의 상관성분석을 통하여 식생지수를 이용한 정량적인 가뭄분석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NDVI와 VCI
  2.1 NOAA NDVI
  2.2 식생상태지수(VCI)
 3. 가뭄지수의 활용
  3.1 PDSI(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3.2 SPI(Standard Precipitation Index)
 4. 적용 및 고찰
  4.1 NDVI, VCI 자료의 작성
  4.2 가뭄지수 자료를 활용한 가뭄분석
  4.3 식생지수와 가뭄지수의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경탁 Kim, Kyung Tak.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부 선임연구원
  • 박정술 Park, Jung Soo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부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