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그림 속의 숲

조선시대 회화에 나타난 수목

원문정보

오병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목차

머리글
 1.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에 따라 5종의 수목만으로 숲을 완성
 2. 중국남화(中國南畵)의 전통을 계승한 조선 전기 회화에서의 수목표현(樹木表現)
 3. 민족성을 되찾은 겸재(謙齋)의 진경산수(眞景山水)
 4. 도교(道敎)의 신선사상(神仙思想)에 따라 선계(仙界)를 표현
 5. 자신이 꿈꾸는 이상향을 건설하기 위해 석가산(石假山)을 쌓고
 6. 직접 매원(梅園)을 찾기보다 찾아가는 과정을 제시
 7. 민화 속에 나타난 수목의 의미
 맺는 글
 참고문헌

저자정보

  • 오병훈 수필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