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인문학

백석의『사슴』과 서정주의『질마재 神話』비교 고찰

원문정보

Comparative study on Baek Seok's『Dear』and Seo Jeong-ju's『The Jilmajae Myth』

박혜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mparative study on Baek Seok's Dear and Seo Jeong-ju's The Jilmajae Myth Park, Hye-suk This study purposes to light up the effects by considering materials such as space, lack, food commonly shown in Baek Seok's Poem CollectionꡔDearꡕand Seo Jeong-ju's Poem Collection ꡔThe Jilmajae Mythꡕin light of mutual texts. ꡔDearꡕdeals with the childhood in the hometown and folks and it is very visual based on the imagism. Contrary to this,ꡔThe Jilmajae Mythꡕhas many reorganized poems citing existing diagonal and literal narratives and containing the intentional messages. The poems also contain satire, humor and grotesque and they are dramatic in voice, facial expression and gesture. The two poem collections imply lack and dearth. ꡔDearꡕlacks family members and depicts the yearning for them. It repeats and enumerates family names, food names, game titles etc. to double rhythm and emotion. ꡔThe Jilmajae Mythꡕintentionally shows the disabled and deifies them as transcendental existence. In addition, it describes the emotional connection between the nature and human beings. In light of food, while Baek Seok's poems use foods to objectively reflect on past experience, Seo Jeong-ju's poetry pushes out the oppressed subject and creates the cathartic subject who releases emotional tension by excretion. Space, emotional deficit, meaningful food as shown above are combined with genre-mixed narrative structure. This has critical significance in the possibility of the combination with visual paradigm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visual media are much more powerful than printing media in the digital era and poetry is isolated.

한국어

본고는 백석 시집 사슴과 서정주 시집 질마재 神話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공간, 결핍, 음식물 등의 제재를 상호텍스트 관점에서 고찰하여 그 효과를 밝히려 한다. 사슴은 유년의 고향체험과 민속이 담긴 원형의 공간을 다루고 있고, 이미지즘 기법에 입각하여 영상적이다. 이와 달리 질마재 신화는 기존의 문헌설화, 구전설화에서 인용하여 의도적인 메시지를 담아 재구성한 공간의 시들이 많고 풍자와 해학, 그로테스크함을 보여주며 목소리, 표정, 몸짓 등에서 극(劇)적이다. 두 시집에는 결핍들이 나타난다. 우선 사슴은 가족구성원이 결여되어 있고 이들을 그리워하는 심리가 나타나며 혈족이름, 음식이름, 놀이제목 등을 반복하거나 나열하는 기법을 써서 리듬과 정감이 배가된다. 질마재 신화는 신체의 부족함이 있는 인물들을 표현하는데, 이를 초월적 존재로 신격화하거나 자연과 인간의 교감으로 전이시킨다. 음식물이 백석 시의 경우는 지난 경험을 회상하는 객관적 상관물이 되는 반면, 서정주 시에서는 음식물을 배설함으로써 억압된 주체를 밀어내고 정화된 주체를 만드는 발상을 한다. 위에서 살펴본 공간성, 결핍의 심리성, 음식물 제재의 의미성 등은 이야기구조와 장르혼합양상이 두드러진다. 이 점은 디지털 시대 활자매체보다 영상매체가 대세이고 시문학이 고립되는 현실에서 영상 패러다임과 손잡을 가능성이 있는데 그 의의가 있다.

목차

국문개요
 1. 머리말
 2. 공간의 영상적 재현과 극적 재현
 3. 결핍에 내재된 현실적 동경과 초월적 지향
 4. 음식물이 상징하는 추억과 정화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혜숙 Park, Hye-suk. 협성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