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사회사업이 전문직의 위치를 확고히 유지하기 위해서는 조사자의 수나 조사의 양, 조사결과의 보급 면에서 확고한 기반이 갖추어져야 한다. 정신보건 영역은 사회사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고 사회복지사들이 점차로 정신보건서비스를 더 많이 제공하게 됨에 따라, 정신보건서비스나 개입의 발전과 지식확대를 위한 노력을 배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정신보건영역에서의 조사의 양과 질을 확대해야 한다. 정신보건과 관련한 조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고, 정신보건 조사방법에 대한 훈련과 보급을 확대하며, 정신보건 분야의 조사의 논점과 이슈를 분명히 제시하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물론 조사를 지원할 기금확보는 필수적이다.
특히 사회사업은 실천학문이기에 사회사업개입이나 프로그램 그리고 사회사업실천을 평가하는 주제는 사회사업전문직에서 매우 중요한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평가조사가 많이 시행되고 있지 못하다. 예로,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지에 발표된 최근 100편의 논문 중 약 9편만이 실험설계를 활용한 프로그램이나 개입의 평가에 관한 것이었다. 평가조사는 서구에서도 많이 시행되지 못하고 있는데, Rosen, Proctor and Staudt (1999) 에 의하면 프로그램이나 개입에 대한 평가조사는 전체 조사대상 아티클 중에서 약 7%에 불과했다(총 1,849 중 126편).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최근 미국에서는 NIMH의 지원을 받아 8개의 대학에 정신건강연구센터를 설립하고 사회사업개입 프로그램의 효과성연구에 박차를 가한 바 있다 (Austin, 1999).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분위기를 확산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정신보건사회사업 프로그램의 평가의 활성화를 촉진하고 전문적 연구기반의 확대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이 글에서는 정신보건 프로그램 평가의 발전적 시행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프로그램 평가를 크게 둘로 나누어 보면, 프로그램의 수행에 초점을 맞추는 과정평가 또는 형성평가, 그리고 프로그램이 성공적인 결과를 얻어내고 있는지의 여부에 초점을 두는 성과평가 또는 총괄평가를 들 수 있다. 형성평가를 포함하는 질적평가방법은 별도의 발제자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주로 양적방법에 의한 성과평가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고자 한다.
목차
2.평가의 지표설정과 논점
3.독립변수로 활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
4.프로그램의 표준화
5.성과평가 설계방법
6.프로그램의 효과적 요인 검증
7.효과성 인증을 위한 기준
8.효율성 평가
9.과정평가
10.분 석
1)관계의 강도(효과크기)의 검토
2)본질적/실용적 유의성 (substantive significance) 검토
11.앞으로의 과제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