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order to restructure the Marx' class theory it is necessary to raise claims against the economistic bias of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s and to criticize the ‘post- marxist’ class theory. To this end, 3 levels are in the approach methodologically distinguished: class status, class interest, class action. The class interest can be derived from the common material status of the economic agents. The class action can occur based on the common class interest that can be realized through the communication.In order to reach a society without classe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make an end of the capitalist society, but to put the work to an end in the dialectical sense. To be emancipated from the economy-centered society like the capitalist, according to Marx, we have to pass some economy-centered phases, to which the emerging knowledge society belongs. Within the capitalist society the transformation of the industrial into the knowledge society means the shift from the real to the formal subsumption of the labour under the capital, while the transformation from the manufacture to the machine-based mass production meant the shift from the formal to the real subsumption of the labour. Such a change in the class status will lead to a change in the class interest and class action in the not so far future.
한국어
본고의 목적은 맑스의 계급론을 방법론적으로 재해석하여 계급분석의 새로운 틀을 제시하는 한편, 최근 지식경제의 발전과 더불어 변화하고 있는 계급관계를 맑스 계급론의 시각에서 해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계급상태, 계급이익, 계급행동이라는 3차원이 방법론적으로 구별되었다. 동일한 계급상태에 처해 있는 개인들은 동일한 이익체계를 가질 가능성이 높다. 소통의 매개적인 역할에 의해 이익의 동일성이 이익의 공동성으로 발전했을 때 계급행동이 가능하다. 계급관계가 상대화되고 궁극적으로 폐지되기 위해서는 자본주의의 지양뿐만 아니라 노동의 지양이 필수적이다. 계급철폐, 분업지양, 노동지양으로 요약되는 맑스의 인간해방관은 바로 경제 중심의 사회로부터의 해방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는 철학이다. 그러나 경제중심의 사회로부터 해방되기 위해서는 바로 경제중심의 여러 단계를 통과해야 한다. 지식경제도 그 중 하나일 것이다. 매뉴팩처로부터 산업경제로의 이행이 자본에 대한 노동의 형식적 포섭에서 실질적 포섭으로의 이행을 수반했다면 산업경제로부터 지식경제로의 이행은 실질적 포섭에서 형식적 포섭으로의 이행을 함의하고 있다. 이러한 계급상태의 변화는 불가피하게 계급이해 및 계급행동의 변화를 초래할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개인과 계급의 상호관계
Ⅲ. 계급상태의 개념
Ⅳ. 계급이익의 개념
Ⅴ. 소통과 계급행동
Ⅵ. 노동지양과 계급지양
Ⅶ. 지식경제의 계급관계
Ⅷ.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