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Seit dem Ende des ideologischen Konfliktes 1990 begannen die Staaten in der EU und osteuropäische Staaten, engen sozialen, wirschaftlichen und politischen Autstausch in Form der Einführung der Währungsunion und der Osterweiterung der EU zu stärken. Dies gilt prinzipiell als Chance, in einem einheitlichen europäischen Staatssystem Waren und Arbeitskräfte frei zu bewegen und somit auf europäischer Ebene sozioräumliche Solidarität zu fördern und wirtschaftliche Dynamik zu stärken. Zur Unterstützung dieses Prozesses setzte die EU eine neue Raumentwicklungspolitik “Europäische Traube” auf. Damit wird erwartet, sich das raumstrukturelle Bild Europas in einer Form der ausgeglichenen Raumentwicklung positiv zu ändern. Aber in Wirklichkeit wurde die raumwirtschaftliche Entwicklung unter den EU-Staaten im Laufe der Zeit 1994-2000 noch unausgeglichener verlaufen. Vor allem wirkte sich die Disparität des Bruttoinlandproduktes unter den EU-Staaten nahezu als eine unüberwindbare Barriere aus. In diesem Zusammenhang liegt der Schwerpunkt dieser Studie in 2 Aspekte, erstens, inwieweit die neue Raumentwicklungspolitik der EU auf die Schaffung einer ausgeglichenen Raumstruktur beigetragen hat, und zweitens, was der Beitritt der acht neuen osteuropäischen Staaten 2004 für die ausgeglichene Raumentwicklung der EU zu bedeuten. Hierfür wurde als analytische Methode ein Time-Series-Analysis des Bruttoinlandproduktes der EU-Staaten im Zeitraum 1994-2003 für die Schaffung einer balancierten Raumstruktur angewendet. Schliesslich ist festzustellen, dass der neue Ansatz der Raumentwicklungspolitik “Europäischer Traube” für den raumwirtschaflichen Ausgleich positiv zu bewerten ist und sich der EU-Beitritt der osteuropäischen Staaten für die Übewindung der regionalen Disparitäten zwischen den reichen und den armen Staaten im langfristigen Zeitraum positiv bewirken wird.
한국어
1990년 동서진영의 이념적 충돌이 종결을 맺은 이후 유럽연합 소속국과 동구유럽국들은 유럽연합의 동구확대, 통화단일화의 실현 등의 방법을 통하여 사회, 경제 및 정치적 교류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왔다. 이는 유럽연합 내에서 재화와 노동력의 자유로운 이동을 확보하여, 유럽이라는 사회를 하나의 통합된 국가체제로 공고히 하려는 것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경제적 단일체의 활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로 삼는 전략이다. 이러한 진행과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유럽은 “유럽포도송이”라는 공간개발정책을 수립하고 균형발전을 도모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추진에도 불구하고 유럽연합 소속국들의 공간개발은 1994년부터 2000년 사이에 불균형적으로 발전하여 왔다. 즉, 유럽연합 소속국의 국내총생산액을 살펴볼 경우 격차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다음의 두 가지 사항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새롭게 제시된 유럽공간개발정책이 어느 정도나 유럽공간구조의 균형적 발전에 기여했는지, 둘째, 2004년 동구권의 8개 신규 유럽연합 가입국이 유럽연합의 균형발전에 의미하는 바는 무엇이었는지에 대한 분석이었다. 이러한 분석에는 유럽연합국의 국내총생산에 대한 시계열분석이 활용되었으며 1994년부터 2003년 사이의 공간구조에 대한 정책적 변화가 나타나 있다. 이러한 정책은 “유럽포도송이 모델”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럽연합의 균형적 공간개발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동구유럽국가의 신규가입은 장기적 관점에서 볼 때 유럽연합내의 지역간 불균성을 극복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목차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Ⅱ. 연구의 접근방법 및 내용
Ⅲ. 유럽공간의 발전축구조 (2000년 이전)
1. 전통적인 서유럽의 발전축 “블루 바나나 (Blue Banana)”
2. 1990년대 유럽연합의 경제중심구조 변화
3. 균형발전을 위한 유럽연합의 지역발전정책
Ⅳ. 유럽연합의 확대와 공간의 발전축구조 (2000년 이후)
1. 유럽의 다핵형 발전구조 “유러피언 그레이프(European Grape)”
2. 2000년대 서부유럽의 경제중심구조의 변화
3. 유럽연합의 확대와 지역간 불균형성의 변화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Zusammenfasss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