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correlations between the ASIA motor score and the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 II and to establish the new standard of the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improvement of motor score during ADL training for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Methods :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42 patients who had been suffering from SCI for over 6 months and residing in Busan. The ASIA motor score and the SCIM Ⅱ were employed for evaluation.
Results : 1. The outcome between upper limb - entire motor scor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r= .90, r= .90, p< .01) with complete quadriplegia.
2. The outcome between upper limb - lower limb- entire motor scor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r= .64, r= .81, r= .87, p< .05) with incomplete quadriplegia.
3. The outcome between upper limb - lower limb- entire motor scor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r=- .49, r= .60, r= .61, p< .05) with paraplegia.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ASIA motor score and the SCIM Ⅱ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Therefore, these tools can be utilized as valid outcome measures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for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한국어
목적 : 척수손상 환자의 ASIA 운동능력 성취점수와 SCIMⅡ를 사용한 일상생활수행도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일상생활수행 훈련 시 운동능력성취점수의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치료 방법의 선택 기준을 마련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부산 시내에 거주하는 손상 후 6개월 이상인 42명의 척수손상 환자로 하였고 연구 기간은 2004년 12월부터 2005년 1월까지 이루어졌다. 평가도구는 ASIA의 운동능력 성취점수와 SCIMⅡ를 사용하여 운동능력 성취점수와 일상생활 수행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 척수손상환자 42명 중 손상 유형에 따라 3개의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완전사지마비군에서 상지-전체 운동능력 성취점수와 일상생활활동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p〈.01)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90, r=.90). 불완전사지마비군에서는 상지-하지-전체 운동능력 성취점수와 일상생활활동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p〈.05)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64, r=.81, r=.87). 하지마비군에서는 상지-하지-전체 운동능력 성취점수와 일상생활활동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p〈.05) 보통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49, r=.60, r=.61).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척수손상 환자에 대한 ASIA 운동능력 성취점수와 SCIMⅡ와는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척수장애 재활의 지표를 확립하는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연구 기간
2. 평가도구
3. 연구절차
4. 분석방법
Ⅲ. 연구 결과
1. 완전 사지마비군에서의 ASIA 운동능력성취점수와 일상생활활동 점수와의 상관관계
2. 불완전 사지마비군에서의 ASIA 운동능력성취점수와 일상생활활동 점수와의 상관관계
3. 하지마비군에서의 ASIA 운동능력성취점수와 일상생활활동 점수와의 상관관계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