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중등 도덕과 교육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원문정보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of the 'Moral Education', a required subject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서규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1st and 2nd curriculum time was the period of a fetal movement of Moral Education, the 3rd curriculum time was that of creation, and the 4~7th curriculum time was that of development. Our Moral Education has a life cycle like any other pseudo-organization. We don’t know how long this life cycle will be continued. The history of last 30 year Moral Education was a continuity of crisis situation. Identity crisis and legitimacy crisis was continued, it made us to be nervous when the life cycle was ended. However, it operated with the power of the development. The identity crisis and legitimacy crisis was mainly to relate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the academic foundation in Moral Education. The debate which relates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the academic foundation of Moral Education is not over. The Moral Education attempts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which jumps over the boundary of individual studies. such as the Korean studies, philosophies, ethics, political sciences, sociologies, psychology and pedagogy. 1970 years was the time where the philosophy leads the study foundation of the subject. 1980 years, the social science knowledge such as a political science and a pedagogy was the study foundation of the subject. in 1990's, ethics become the principal academic foundation in Moral Education. The argument regarding the aim and a contents of Moral Education is ever continued. Now, the principles setting objectives in Moral Education are ① harmonizing between the features of desirable Korean and those of qualified world citizen, ② the trisection direction which is a knowledge → thinking skill → attitude and a will, ③ setting sequence according to the step of moral development. It is being more emphasized that we should make students to be a desirable Korean. The general tendency was changed from the time which emphasizes a knowledge relatively, passing by the time which emphasizes an thinking skill, to the time which emphasizes an attitude and a will relatively. The principle of selecting contents for Moral Education is ① the integrating method of contents according to community enlargement or the environment magnification for the scope of the subject, ② a spiral curriculum especially for sequence. In a information society, if a frequency of using new media is coming to be high and the textbook will be changed from an state authorized textbook to an authorized one, then their strong point and weak point will be revealed. For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we have try to introduces numerous western theory of moral education. It is important that we are aware of having no aid for us to simply introduce and understand their theory. Here, we review roughly family ethics education, environment education, international ethics education as well as theories of democracy, unification education, ethics, traditional ethics that are the basic course in order to receive the Moral Education teacher’s licence. Teaching methods of moral education do not become fixed in Korea. Those are recognized as a strange thing imported. We know the weak point and strong point of virtue bag approach, authority respect approach, social adjustment approach, value clearification, moral dilemma discussion, character education and so on, don‘t know how they are apply to our teaching environments. Every 5 years the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has changed. It is not appropriate. The performance assessment that evaluates the conduct change which one accomplished in a short-term, might have the weak points as well as the strong points. The position which sees Moral education is still various. Those are conservative position, traditional position, progressive position, innovative position and so on. We expect that those all position will contributes to developing our Moral Education.

한국어

제1~2차 교육과정 시기가 도덕과의 태동기라면, 제3차 교육과정 시기는 생성기, 제4~7차 교육과정 시기는 발전기라고 이름 붙일 수 있을 것이다. 다른 모든 유사 생명체와 마찬가지로 우리 나라의 도덕과도 생명 주기(life cycle)를 가질 것이다. 이 생명 주기가 얼마나 오래 계속될지는 알 수 없다. 지난 30년 간 있었던 도덕과 교육의 역사는 위기 상황의 연속이었다. 계속된 정체성의 위기와 정당성의 위기는 도덕과의 생명주기가 언제 끝날지 모른다는 조바심을 갖게 만들었지만 그 자체가 엄청난 발전의 동력으로 작용하였음을 부인할 수 없다. 정체성 및 정당성의 위기는 주로 도덕과의 성격과 그것의 학문적 기초와 관련된 것이었다. 도덕과의 성격과 학문적 기초와 관련된 논쟁은 아직 끝나지 않고 있다. 도덕과는 한국학, 철학, 윤리학, 정치학, 사회학, 심리학, 교육학 등 개별 학문들의 경계를 뛰어넘는 종합 학문적인 접근법을 시도한다고 이야기해 왔다. 도덕과의 경우 1970년대는 교과의 학문적 기초를 철학이 주도한 시기였다고 생각한다. 1980년대는 정치학, 교육학을 비롯한 사회과학적 지식이 교과의 학문적 기초를 뒷받침해주었다. 1990년대에 들어선 이후로는 다시 윤리학 연구의 지식이 도덕 교과의 주된 학문적 기초로서 주도권을 가지게 되었다. 도덕과의 목표와 내용에 관한 논쟁도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현재 도덕과의 목표 설정 원칙은, 첫째로 바람직한 한국인상과 자격 있는 세계시민상의 조화를 모색한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아직도 바람직한 한국인의 육성 쪽에 더 많은 비중이 두어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문제는 오래도록 쟁점이 되어 왔다. 두 번째 목표 설정 원칙은 지식→사고능력→태도 및 의지라는 삼분법적 방향이다. 이것은 세 번째 원칙인 도덕 발달 단계에 따른 계열 설정과 연관된다. 그렇지만 전반적인 추세는 분명히 지식을 상대적으로 강조하던 시기로부터 사고능력을 강조하던 시기를 거쳐 태도 및 의지를 더 강조하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도덕과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 원리는 내용 구성의 체계성을 위하여 범위는 사회 확대에 따른 내용 통합 방법 또는 환경 확대 접근법을 채택하고 있고 계열은 학년별로 나선형 교육과정의 원리를 채택하고 있다. 정보화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매체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교과서가 국정이 아니라 검인정으로 바뀔 경우 그것들 각각의 장단점이 구체화될 것이다. 도덕과의 발전을 위하여 서구의 수많은 이론들을 소개하고 도입하려는 시도를 해왔고 또 하고 있다. 문제는 단순히 이론만을 수입하여 이해하려 해서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 여기서는 도덕과의 구체적인 내용 영역들의 문제를 모두 살펴볼 수는 없으므로, 도덕 교사 자격증 부여를 위한 기본 이수 영역의 내용인 민주주의론, 통일교육, 윤리학과 전통윤리와 더불어 가정윤리교육, 환경윤리교육, 국제윤리교육 내용을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도덕과의 교육 방법은 우리 나름의 것으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다. 그것들은 여전히 수입된 낯선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덕목 접근법, 권위 존중 접근법, 사회 적응 접근법, 가치명료화, 도덕적 딜레마 토론, 인격교육론 등 단점과 장점은 소개되고 있지만 그것이 우리 교육 현장에 어떻게 정착될 수 있는지는 언급되지 않고 있다. 현재 5년마다 개정되는 도덕과 교육과정은 성급한 성과를 기대하는 조급증에 걸려 있다고 보여진다. 단기적으로 이루어진 행동 변화를 평가의 대상으로 하는 수행평가는 그 장점 못지 않게 단점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 사회에서 도덕과 교육을 바라보는 시각은 여전히 다양하다. 보수적 시각, 전통적 시각, 진보적 시각 또는 혁신적 시각 등 여러 가지이다. 이러한 여러 시각들 모두가 우리나라의 도덕과 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저자정보

  • 서규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