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퍼스의 기호학과 라클라우·지젝의 담론이론을 통해서 본 툴민의 논증 이론

원문정보

Re-reading of Toulmin's "The Use of Argument" Through Peirce's Semiotics and Laclau & Zizek's Discourse Theory

이병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read the argument theory of Toulmin from the viewpoint of contemporary semiotics and discourse theory. This re-read is motivated by two questions. Firstly, if the purpose of analysis of argument is similar that of semiotics-that is to say, the former is a process of argumentation, the later is a process of signification, or the former is a implicated warrant in argument, the later is implicated a code in signification-what is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similarity? Secondly, if any argument is always situated in social context and only if we analyze argument in practical situation we can understand exact process and effect of argument, how can we expand Toulmin’s theory from the philosophical-analytical level to the sociological-political level and through what theory can we achieve this expansion? This paper is only preliminary paper, so can not provide for a perfect answer. Instead, this paper can only outline theoretical territory from which further study can find more elaborated theoretical explanation and analytical tool. But, this paper suggests a few tentative concepts and assumptions. Firstly, the homogeneity between the process of argumentation and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of sign-that is to say, abduction-tell us that Toulmin’s theory must be re-understood in term of the linguistic turn. Secondly, through this homogeneity we can see similar structural limits of the argument and the sign-interpretation and both limits are result from the incompleteness of the symbolic. Those limits produce a master signifier and a warrant-of-warrant(in other word, ultimate warrant). The master signifier and ultimate warrant function at the same time to embody impossibility of the perfect totality and to suture this impossibility. Here, we can understand irrational core of rational process of argumentation. But, this irrational core must be understood rational ground of radical democratic project, in other word hegemony strategy, because this incompleteness of totality in Lacanian term, not-all) designate there is no positive guarantee of totality such as perfect society, perfect identity. This impossibility open the empty space from which different social agents create new meaning about their society and possibility of better society through alliance between different social classes. This process of creation is named hegemony by Gramsci. When he tells us that hegemony operates by means of ‘moral persuasion and agreement’, we can understand how relevant we re-think hegemony through Toulmin’s argument theory articulated contemporary discourse theory such as Laclau, Zizek, and Foucault. It is also method by which we can re-think Toulmin’s theory. This is a final suggestion of this paper.

한국어

이글의 목적은 툴민의 논증이론을 현대의 기호학과 담론이론의 관점에서 재독해하는 것이다. 이 글은 다음의 두 가지 질문을 던지고 있다. 만약, 논증분석의 목적과 기호의 의미화 과정의 분석이 유사한 것이고, 그 둘의 구조가 유사한 것이라면 이러한 유사성은 어떤 이론적 함의를 지니고 있는가? 둘째,논증이 항상 사회적 맥락에 위치지워져야 한다면, 어떤 이론적 수단을 통해 툴민의 논증이론을 철학적-분석적 수준에서 사회학적-정치적 수준으로 확장할 수 있을까? 그러나 이 글의 목적은 이 질문에 대한 완전한 대답을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예비적인 대답을 위한 것이며,몇 개의 가정적인 개념들과 가정들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우회를 통해 툴민의 이론을 재독해하였다. 첫째로,논증과정과 기호 해석과정간의 구조적 유사성의 이론적 확인을 통해 툴민의 논증이론이 언어학적 전회의 맥락에서 재독해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퍼스의 기호해석 모델인 가추법과 논증의 구조 간의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둘째로,논증과정의 한계와 기호해석의 한계는 상징계의 불완전성으로부터 나오며, 논증의 경우 궁극적인 논거 또는 논거의 논거가 이러한 한계를 보안하는 논리를 밝혀 보았다.셋째로,이러한 한계가 사회적 수준으로 연결되는 순간 논증이 헤게모니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논리를 밝혀 보았다. 이러한 헤게모니 기능을보다정확한 이론적 맥락에서 파악하기 위해서 라클라우와지젝의 담론이론과 헤게모니 이론을 살펴보았으며, 툴민의 논증이론이 라클라우나 지젝의 담론이론에 비추어 어떻게 재독해되어야 할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 부분에서 더 진행되어야 할 이후의 이론적 작업을 제안하였다.

저자정보

  • 이병주 Byeong-Joo Lee. 경희대학교 신문방송하기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