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관리자 피드백의 경로모델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Path Model Of Reactions To Managerial Feedback

김영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is paper proposes a theoretical path model of workers’ reaction processes to managerial feedback. Traditionally the effect of managerial feedback has been investigated in terms of simple stimulus-response models. These models focus on how workers respond to positive or negative managerial feedback messages. This paper, however, considers intermediated psychological processes between supervisors and workers. The psychological processes include managerial attributions and their effects on workers’ emotional reactions in accounting for the effects of managerial feedback on a poor performer’s motivation. Two attributions in the model are lack of ability and effort, and shame is selected as an emotional reaction for this study. This model proposes that poor performers have perceptions about the attributions that their supervisors make in terms of lack of effort and lack of ability. Managerial feedback serves as an exogenous variable in the model, and predicts the perceptions of these two attributions. The perceptions of lack of effort and lack of ability then serve as positive predictors for shame. It is expected that the perceptions of lack of ability and lack of effort have a different effect on shame. Shame, as an emotion which is determined by workers’ perceptions about supervisors’ attributions, is hypothesized to play a critical role in predicting performance improving motivation.

한국어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관리자(상사) 피드백에 대한 근로자(부하)의 반응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적 경로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관리자 피드백에 대한 연구는 단순한 자극-반응(S-R) 모델을 토대로 이루어져 왔다. 이런 모델들에 토대를 둔 연구는 주로 긍정형 또는 부정형 관리자 피드백 메시지에 대해 근로자가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초점을 두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상사인 관리자와 부하인 근로자 사이에 개입되는 심리적 과정을 고려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심리적 과정은 사고 근로자에게 동기부여를 시킬 수 있는 관리자 피드백의 효과를 설명하는 과정을 말하는데, 이 과정에는 관리자의 귀인과 이 귀인을 지각함으로써 생기는 근로자의 감정적 반응이 포함되었다. 이 연구에서 귀인은 능력부족과 노력부족을 포함하였고, 또한 근로자의 감정적 반응으로는 수치심을 선택하였다.이 모델에서 사고 근로자는 관리자가 생각하는 귀인(능력부족 또는 노력부족)을 지각하게 된다.그리고 이 모델에서 독립변수인 관리자 피드백을 통해서 사고 근로자는 관리자가 생각하는 귀인을 알게 된다. 능력부족과 노력부족의 두 귀인은 모두 수치심을 일으키는 변수다. 관리자의 귀인이 무엇이냐에 따라 결정되는 근로자의 수치심은 업무향상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가정이 제시되었다.

저자정보

  • 김영용 Young-Yong Kim.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