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애니메이션 인식론적 확장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애니메이션 영화 <슈렉3>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Epistemological Expandability of Animation - Focused on the Amination Film "Shrek 3” -

최문희, 전정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ile the hegemony of the indiscrete real sense of animation films is being doubted, their discrete scenes are being internalized. In this process, new scientific technologies show new worlds of moving images and the same time, the values expressed by the moving images lie in the creative expressions of diverse ideas. Thus, the media technology does not disappear despite its visual deception and opposition from the logic of transparency, but rather, sharpen the specifics and materialism of media themselves. Meanwhile, the influence of media generating simulacre interacts with social experiences and other domains to produce some effects of significance. Thus, animation films engage the audience who in turn will sympathize or identify themselves with the virtual main characters emerging in the films.As it is, the realism in animations is not a real but virtual premise. Namely, the simulacre as signifier without signified is an imaginative materialism which has continued to be created in the films. Accordingly, animations are more real than reality, while the artificial 'others' depicted by our human imagination are always created by the contemporary state-of-the-art technologies based on science. Hence, the physical fantasy brought about by the technological determinism since modern times give a hyper-reality to 'others' formed' physically. Despite animations have such fictitious attributes, they can give a life to the objects when they possess a reality. Then, the audience will accept the objects as lively images, being engaged in them. This study sampled the animation film "Shrek" and thereupon, analyzed how the reality is expressed to be reinterpreted into simulacre and interpreted the animation codes according to Baudrillard's concept of simul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영화 이미지가 영화의 연속적 실재감이 지녔던 헤게모니를 의심하고 불연속의 장을 내면화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과학기술은 새로운 영상세계를 보여주며 동시에 영상표현의 가치는 다양한 발상에 의해 창조를 위한 표현방법으로서 존재함으로서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흔적은 눈속임과 투명성의 논리 속에서 스스로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미디어 자체의 구체성과 물질성을 첨예화하고 있다. 그러한 가운데 시물라크르(simulacra)를 발생시키는 미디어의 영향력은 수용자의 지각적 층위, 사회적 경험의 여타 영역과 상호 작용하는 가운데 의미의 효과를 생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애니메이션영화가 수용자들을 몰입하게하고 영화에 등장하는 가상의 주인공 캐릭터에 자신이 동화되어 동조하게 된다. 이렇듯 애니메이션에서의 리얼리즘이 사실적인 전제라기보다는 가상적인 전제로서 즉, 기의 없는 기표로서의 시물라크르는 영화 속에서 끊임없이 창조되어온 상상의 물질성이다. 따라서 애니메이션은 현실보다 더 현실적이며 인간의 상상력을 그려내는 인위적 타자는 언제나 동시대 테크놀로지의 최첨단 기술 집적을 통해 과학적 바탕위에 창조된 것이기 때문에 근대 이후 기술 결정주의가 가져오는 물리적 환영이 물리적으로 형성된 타자에게 하이퍼-리얼리티를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애니메이션은 허구적 속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리얼리티를 가질 때 대상에 대해 생명력을 부여하고 생명력 있는 이미지로 받아들이게 되어 수용자들을 몰입하게 한다. 사례로 애니메이션영화<슈렉>의 작품분석을 통해 어떻게 리얼리티가 표현되어지고 시뮬라크르로 재해석되는지를 논의해보고 보드리야르의 시물라시옹이란 개념을 이용 애니메이션의 코드를 해석해본다.

목차

국문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현대사회와 리얼리티의 문제
  2-1 리얼리티의 일반개념
  2-2 리얼리티의 철학적 전개
  2-3 매체의 발달과 전통적 인식의 파괴
  2-4 영상의 확장ㆍ시각 세계의 확장
 3. 현대애니메이션 가상 리얼리티의 확장 불가피성
  3-1 애니메이션과 인식론
  3-2 디지털영상 이미지와 가상성
  3-3 시물라크르와 하이퍼리얼리티
 4. <슈렉3>의 시물라크르의 내재성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문희 Choi, Moon-hee. 홍익대학교 조형대학 디자인영상학부(조치원캠퍼스)
  • 전정숙 Jun, Jung-sook. 한국 폴리텍, 서울강서대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