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 3자 효과 : 인간 이성의 한계와 매스 커뮤니케이션

원문정보

The Third-Person Effect:Bounded Rationality and Mass Communication Studies

정성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cognitive foundation of the third-person effect theory, which asserts that others are perceived to be more influenced by the media than the self. The traditional psychological explanation about the third-person effect has been motivational one, which argues that the egoistic human tendency to put the self in a positive light with respect to others is responsible for the third-person effect. In contrast, this study newly focuses on the cognitive aspect of the third-person effect, drawing on the priming effects theory from cognitive psychology. It seems quite natural that in order for the self to be put in a positive light vis-à-vis others, the self should be cognitively distinguished from others in the first place. All the manipulations employed in this experimental study aim at blurring or enhancing the cognitive distinction between the self and others. A main hypothesis was that when the cognitive capacity to mak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elf and others is constrained, the third-person effect as a contrast priming effect will decreas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it was not the case. However, the very falsification of the main hypothesis denies that the thirdperson effect arises due to the way questions about the media influence are asked. That is, the perceptual gap between the self and others is not related to the impact of question order, which is ultimately nothing other than a contrast priming effect. This result coincides well with previous studies that refu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rd-person effect and the question order effect. Lastly, the third-person effect is discussed as an illustration of the bounded rationality that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mass communications processes.

한국어

본 연구는 제3자효과의인지적기초에관한연구인 동시에제3자효과를인간이성의 한계라는 맥락에서 해석하려는 시도다. 제3자 효과의 원인에 대한 전통적인 심리학적 설명은 동기론적이었는데,이에 따르면 제3자 효과는 자기 자신을 타인에 비해 영리하다고 보려는 이기적인 심리의 발로로 해석되었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자신을 타인에 비해 더 낫게 보려면 우선 자기 자신과 타인을 인지적으로 구분해야 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실험 연구의 핵심은 제3자에게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과 자기 자신에게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 사이의 인지적 구분을 방해함으로써 제3자 효과를 줄일 수 있는지를 관찰하는 것이었다.실험 결과, 주요 가설이 기각되어 제3자 효과가 미디어의 영향력에 대한 사회적 판단에 있어 자기 자신과 타인이라는 인지 범주의 대조와 간섭에 의해 일어나는 프라이밍 효과로 설명되기 어렵다는 점이 밝혀졌다.그러나 제3자 효과가 프라이밍 효과로 환원될 수 없다는 본 연구의 실증은 제3자 효과가 단순히 질문 순서 효과가 아니라는 제3자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뒷받침하는 새로운 증거이기도 하다.다른 한편,본 연구는 제3자 효과가 일어나는 과정이 인간 이성의 한계와 연관될 수 있다는 증거를 발견하였고 본고는 이와 관련하여 제3자 효과의 의의를 인간 이성의 한계와 매스 커뮤니케이션 과정의 관계라는 맥락에서 논의하고 있다.

저자정보

  • 정성욱 Sung-Wook Jung. 서울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