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Dewey's and Chuang Tzu's epistemology

원문정보

-듀이와 장자의 인식론 비교 연구-

Jeong Il K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upon epistemology of East and West. The five Italic words in the summary are the key words of the paper. In classical western epistemology, knowing takes place within the relation between the knower and the known. In due such course the known acts as a cause as an individual unit. The knower is a mere receiver of the cause for the knowing. This is to say, according to Hume and Locke, an one-way situation. There is a sharp line between the knower and the known. This means that the known resides in different place providing a cause for knowing. This is the epistemological dichotomy of the West. Dewey criticizes the classical format of western epistemology insisting a different type of epistemology based upon continual interaction between the knower and the known. Dewey's idea can be put in two footings. First, there can be no absolutely independent and static individual in the world: whether the knower or the objects of knowing. Second, we, the subject of knowing are attached to the world, the object of knowing. It is quite interesting that Dewey's account on the world and knowing shares much common ground with that of Chuang Tzu. According to Chad Hansen, Chuang Tzu says of tao-t'ung-wei-i(道通爲一). This means that when 'I' chueh-te(覺得) Tao(道) through my innate kwang-ming-chih-hui(光明知慧) it is a recognition that 'I' and Tao(道) are not two but one. In Chinese philosophy, it is considered that epistemological dichotomy that draws a line between 'I' and the world may give us accuracy in knowing, but at the same time, it also renders us a division in 'I' and the world which is an inversive function for knowing. In Chinese philosophy, especially in Taoism, epistemological format includes a process of making the two(the knower and known) a comprehensive 'one'. Both Dewey's and Chuang Tzu's epistemology suggest the idea of interactionism or monism. This idea of dropping of dichotomy of knower and known can be called 'epistmological monism'. Wing Tsit Chan calls it "oneness" and Thomé H. Fang calls it "comprehensive harmony".

한국어

일반적으로 인식은 인식하는 자와 인식대상과의 관계상에서 이루어지는데 서양에서는 고전적으로 인식대상이 인식자에게 개별자로서 원인을 제공한다고 보았다. 이것을 Hume의 견해대로 본다면 one-way적인 형국이다. 즉, 인식대상만이 인식자에게 원인제공을 하고 인식자는 인식대상과 별개인 위치에 있다. 이에 대해서 듀이는 서양의 이분법적 인식형태를 부정하고 인식자와 인식대상 간의 연속적인 상호교섭에 의한 인식형태를 주장한다. 듀이는 인식의 주체이건 대상이건 간에 이 세상에는 완전히 독립적이고 고정적(static)인 개별자가 있을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인식주체인 우리는 인식대상인 세상에 부착되어(attached) 있어서 순수한 개별자(Absolute individuality)나 생각은 없다는 것이다.James R. Ware 의 장자에 대한 번역에 의하면 장자는 세상을 六合之內와 六合之外로 나누어 보고 六合之外를 괄호안에 넣어 두고 일반 인식외의 문제로 놓아둔다. Chad Hensen의 해석에 의하면 장자(莊子)가 말하길 도통위일(道通爲一)이라 했다. 나의 본성의 광명지혜(光明知慧)를 통해서 도(道)를 각득(覺得)하면 결국은 나와 도(道)가 둘이 아니고 하나라는 것을 깨닫는다는 것이다. 중국철학에 있어서 분별지(分別智), 즉 나와 대상을 둘로 갈라놓은 전제에서 차별, 분별을 추구해 가는 지식은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이는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 등을 갈라놓아 역기능(逆機能)의 부작용이 발생한다고 보았다.그래서 중국의 인식론, 특히 불가(佛家)나 도가(道家)의 인식론은 인식하는 자와 인식대상을 개별적 ‘둘’에서 총체적 ‘하나’로 합치는 과정을 추구한다. 듀이의 인식론과, 장자를 중심으로 한 중국의 인식론 체계는, 인식자와 인식대상 구별을 부정하고 상호교섭(相互交涉) 내지는 인식론적 일원론을 주장한다. 그러므로 듀이와 장자의 인식론적 기본 자세를 서양적 개념으로 이름짓는다면 ‘인식론적 일원론’ 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Wing Tsit Chan 은 "oneness" 라 부르고, Thomé H. Fang 은 “comprehensive harmony" 라고 부른다.

목차

【요약문】
 Glossary of Chinese Names and Terms
 Bibliography
 Abstract

저자정보

  • Jeong Il Kim 김정일. 중국 섬서사범대학교, 중국사상연구소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