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노인수발보험제도에 있어서의 간호업무

원문정보

Nursing Service of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김양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rofessional care manpower is being overheated with the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ahead. According to the care insurance policy, the manpower that would be participating are indicated as the care manager and care worker. Nurses and doctors are to be participating in nursing and care service. Related to this, the service of nurses and care workers presented in the enforcement guide is closely examined to provide efficient connection service by clarifying the boundaries between duties of nurses and care workers, minimizing confusion in work, and reducing financial wasteful expenditure due to overlapped service. As for presenting several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through the study, first of all, issues of confusion in roles of care workers and nurses may occur since there are many who require a low-level nursing service, and those with serious illness who needs service of a professional nurse are managed by home care agencies centered on hospitals. Financial waste will be incurred due to overlapped servic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clarifying the duties of care workers and nurses, and including people managed by the home care agencies centered on hospitals at present in the range of care-required subjects by using the nursing manpower in professional areas is needed in order to control the increase of medical expenses. Second, there are many rehabilitation-related services in the care service manual which levels seem quite risky for a care worker. Especially, the intervention of physical therapists are considered to be essential for function valuation and training service, since recumbent elderly people in Korea have weak joints. Third, there is no comments made on the field of specialization of doctors who have the right to execute nursing service at present. However, the physical, mental, social, psychological aging phenomenons of elderly people are mutually dynamic and also closely related to treatment. So much more medical knowledge and technology on senile diseases are required. Therefore, a medical specialist of geriatrics should be induced quickly as well as strengthening the senile disease recognition policy which is being operated to have the medical specialists concerning the diseases issue guidebooks on nursing and care. Fourth,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ory rate of recipients and family of the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policy, a connection service with areas of the recipients' desires is absolutely required. Fifth, there are service contents and levels presented in present manuals or guidebooks in each area, but a clear classification of roles on service that nurses and care workers must provide is missing. The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is expected to arrange costs by service or time, so clear division of roles between service providers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한국어

노인수발보험제도를 앞두고 수발 전문 인력에 대한 과열현상을 보이고 있다. 노인수발보험법상으로는 관여하게 될 인력이 수발관리사와 수발사로 명시되어 있으며 간호수발에 대한 업무는 간호사와 의사가 참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시행지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간호사와 수발사의 업무에 대해 자세히 파악하고 간호사와 수발사 간에 업무상 발생할 수 있는 중복서비스나 역할갈등에 대한 문제와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서 몇 가지 지적할 수 있는 문제점과 개선안을 제시하자면 첫째, 전문 간호사의 서비스가 필요한 중증 대상자는 병원 중심의 가정간호기관에서 관리하고 낮은 수준의 간호서비스가 필요한 대상자가 많아서 수발사와 간호사와의 역할혼란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중복서비스로 인한 재정낭비도 초래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전문분야의 간호인력을 활용하여 현재 병원중심의 가정간호기관에서 관리하고 있는 대상자까지를 수발인정대상자로 흡수함으로써 노인의료비의 증가도 억제하고 수발사와 간호사의 역할도 명확히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수발서비스의 매뉴얼 상에는 재활관련 서비스가 상당히 많고 서비스의 수준도 수발사의 역할로 보기에는 위험부담이 크다. 특히, 우리나라 와상노인들은 골․관절계가 취약하기 때문에 기능평가 및 훈련서비스 항목에 대해서는 물리치료사의 개입이 필수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현재 간호업무의 수행권한을 갖고 있는 의사의 전공분야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 그러나 노인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심리적 노화현상이 상호 역동성을 지니고 있고 치료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때문에 노인성 질병에 대한 더 많은 의학적 지식과 기술이 요구된다. 따라서 서둘러 노인병 전문의 제도가 도입되어야 할 것이며 시행 중인 노인병 인정의 제도를 강화하여 노인성 질병과 관련된 전공분야의 전문의를 간호수발 지시서 발급자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현재의 매뉴얼이나 각 분야별 지침서상에는 서비스의 내용과 수준은 제시되어 있으나 간호사와 수발사가 제공해야 하는 서비스에 대한 명확한 역할 구분이 없다. 노인수발보험제도는 행위별 또는 시간별로 비용을 책정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서비스제공자의 역할구분이 명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Ⅰ. 서론
 Ⅱ. 노인수발보험법 상의 간호인력
  1. 법적 근거
  2. 간호인력의 관리주체
  3. 간호인력 자격기준
  4. 간호수발의 이용절차
  5. 간호수발지시서
  6. 간호수발 대상자
 Ⅲ. 노인수발보험법 상의 수발 서비스
  1. 간호수발 내용
  2. 노인수발의 표준 매뉴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양이 Yang-E, Kim. 한일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