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estimate variables affecting the residential type of institution for the aged: Focusing on the aged residing in the paid or gratuitous nursing home
초록
영어
Taking as objects 352 old people residing in the paid or gratuitous nursing homes in the regions of Seoul, Kyunggi, Chungcheong, Jeolla and Kyungsang,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life status (variables related to moving into the faciliti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fter moving into the facilities) as per residential type of institution for the aged and to grasp estimate variables affecting the residential type of institution for the ag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paid nursing home, male is more than female and the prevalent range of age is over 65 and below 85. However, the difference in academic background is not significant. Second, while the most important motive to move into gratuitous nursing home is having no supporter, important motive to move into paid nursing home is payment by supporter. Checking lodger before they move into the facilities, more than half of the aged in the gratuitous nursing home lived alone, which coincides with the above motive, i.e., non-existence of supporting family. In the case of paid nursing home, half of the aged lived with children or relatives and the next group lived with spouse. Finally, it turned out that while the aged move into the gratuitous nursing home at their own will, those in the paid nursing home mostly do not. Third, it turned out that the aged residing in gratuitous nursing home tend to recognize amicably the relation between staffs in the facilities and the aged or among the aged than those in the paid nursing home. Fourth, though the aged residing in the paid nursing home suffer severe ADL and show more positive image,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mental depression is not significant. Fifth, checking estimate variables affecting the residential type of institution for the aged by discriminant analysis, it turned out that sex, age, living together before moving into the facilities, intention to move into the facilities, relation among the aged after moving into the facilities, relation with family, ADL of the aged, image of the aged have significant influenc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충청, 전라, 경상권의 유료양로원과 무료양로원에 거주하는 352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첫째, 양로시설 거주 형태에 따른 생활실태를 비교하고, 둘째, 양로시설 거주 형태에 영향 미치는 예측변수들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첫째, 유료양로원의 경우 남자노인의 비율이 다소 높고, 65세 이하노인과 85세 이하의 노인이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력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무료양로원은 부양자가 없음이 가장 중요한 입소동기인데 유료양로원의 경우 부양자의 부담이 중요 입소동기로 작용하였다. 입소 전 동거인을 살펴보면 무료양로원 노인의 경우 독거인 경우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부양가족이 없어 입소를 하게 되었다는 입소동기와 일치하는 부분이다. 유료양로원의 경우는 자녀나 친척과 동거한 경우가 대략 절반정도이고 그 다음이 배우자와의 동거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무료양로원 노인은 노인 스스로 시설 입소를 원했다는 비율이 높고, 유료양로원의 경우 노인 스스로는 원하지 않았다는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료양로원 거주 노인들이 유료양로원노인에 비해 시설종사자와 노인과의 관계, 혹은 노인들 간의 관계를 우호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료양로원에 거주하는 노인의 기능장애정도가 심하고, 노인에 대한 이미지는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우울감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다섯째, 노인의 시설거주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들을 판별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노인의 성, 연령, 입소 전 동거형태, 입소에 대한 의지, 시설입소 후의 노인들간의 관계, 가족과의 관계, 노인의 기능장애, 노인에 대한 이미지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절차
2. 측정도구
III. 연구결과
1. 양로시설 거주 형태에 따른 생활실태의 비교
2. 양로시설 거주 형태에 영향 미치는 예측변수
IV.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