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reviewed and criticized financial aid policies for universities and colleges, which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in order to reform higher education system since 1995 from the political perpective. First of all, this article inquired aims and goals of higher education reform policies through reviewing the trends and the basis of higher education reform in Korea. The results of inquire showed that the government's higher education reform policies for past 10 years have put focus on the idea of neoliberalism which is oriented to free competition or excellence much more than equity. Secondly, from the politics perspective, this article analyzed the problems of government's graded financial aid formula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hich is based on the results of evaluation. The government's financial aid formula has at least four problems. first, the government's graded financial aid has mad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be subject to the government. Second, the formula distorted the principle of equity due to stress too much on free competition with which its conditions has not been satisfied. Third, the government's evaluation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as tended to uniform the instituions because the evaluation scale did not fully consider distinctive characteristics which each institution showed. Lastly, the government's financial aid policy has violated the principle of responsiveness in policy-making process due to the closed structure of policy-making.
한국어
이 논문은 정치학적 관점에서 정부의 대학에 대한 평가와 연계된 차등재정지원방식을 고찰․비판하였다. 먼저 5․31 이후 우리나라 고등교육 개혁의 동향과 정책기조를 고찰하여 고등교육 개혁정책이 어떠한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여 추진되었는지를 고찰하였는데, 지난 10여 년간 고등교육 개혁정책은 신자유주의 이념에 입각하여 형평성보다는 자유와 경쟁 또는 수월성 추구에 훨씬 많은 지향점을 두어 왔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대학에 대한 평가와 연계된 차등재정지원방식의 문제를 정치학적인 관점에서 비판하였다. 정부의 고등교육 개혁정책에 대한 주요 문제점으로는, 선택과 집중의 원리를 내세워 평가에 의한 차등 재정지원 방식을 도입하였으나, 공정한 경쟁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상황에서 대학의 규모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획일적인 평가 기준으로 대학을 오히려 획일화시키고 대학의 자율적 조정 기능을 훼손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는 점이다. 즉 재정지원의 형평성을 왜곡시켰다. 또한 폐쇄적인 정책결정구조로 인하여 대학개혁의 중요성에 대한 대학구성원들의 이해와 관심 및 참여부족, 그리고 대학들의 의견수렴을 위한 정부의 노력이 적극적이지 못하여 반응성 수준이 낮다는 점이다.
목차
I. 서론
II. 5ㆍ31 이후 고등교육 개혁의 동향과 정책기조
1. 5ㆍ31 이후 우리나라 고등교육 개혁의 동향
2. 정권별 고등교육 개혁의 정책 기조
3. 요약
III. 고등교육개혁을 위한 재정지원정책의 정치학
1. 정부의 고등교육 개혁을 위한 재정지원방식
2. 고등교육 개혁을 위한 재정지원방식의 문제점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