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소셜 빅데이터로 살펴본 푸바오 팬덤의 팬덤 수행과 감정 구조

원문정보

Fubao Fandom’s Fandom Performance and Emotional Structure Examined through Social Big Data

황정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sed on the basic understanding of ‘fandom’, this paper investigated the meaning of fandom and fandom performance, which builds a new form of life through emotional labor performed by subculture. Specifically, by analyzing social big data in two aspects: cultural consumption and cultural practice, we looked at various emotional problems that occur inside and outside the fandom in the process of maintaining or driving fandom performance, or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fandom. The main analysis target is posts at Naver Cafe, where the fandom is mainly active, and the analysis target is from July 2021 to June 2024.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fandom showed a productive acceptance pattern of fandom culture that creates social value and meaning by expanding the sense of belonging and identity built through individual cultural consumption at the personal level. In addition, the positive emotions and mutual bonds of the fandom, which are diverse but consistent in all areas of cultural consumption and cultural practice, were confirmed. This feeling started simply from Fu Bao's charm, but it is valued as a political/economic/cultural value according to the national and capital plan to share the middle class's values of consumption and taste with the public. In this regard, fandom and fandom performance have potential as a kind of mechanism for building new forms of identity and capital.

한국어

본 논문은 팬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토대로 서브컬처가 수행하는 감정 노동을통해 새로운 삶의 형식을 구축하는, 푸바오 팬덤과 팬덤 수행 현상을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문화소비와 문화실천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소셜 빅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팬덤과 팬심, 팬덤 수행을 유지/추동하거나 팬덤 수행의 과정에서 팬덤 내외부에 발생하는 다양한 감정의문제를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대상은 푸바오 팬덤이 주로 활동하는 네이버 카페 게시글이며, 분석 기간은 2021년 7월부터 2024년 6월까지이다. 분석 결과 푸바오 팬덤은 개성적인문화소비를 통해 구축된 소속감과 정체성을 개인적인 차원에서 확장해 사회적 가치와 의미를창출하는, 팬덤 문화의 생산적 수용 양상을 나타냈다. 또한, 문화소비와 문화실천의 대부분영역에서 다양하지만 일관된, 푸바오 팬덤의 긍정적 감정과 상호 유대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감정은 처음에는 단순히 푸바오의 매력에서 출발했으나 점차 소비와 취향이라는 중산층의가치를 대중과 공유하려는, 국가와 자본의 기획에 따라 정치/경제/문화적 가치로 매겨진다. 이러한 점에서 팬덤과 팬덤 수행은 새로운 형태의 정체성을 구축하는 일종의 메커니즘으로서기능할 잠재력을 내포한다고 판단된다.

저자정보

  • 황정혜

※ 원문이용 방식은 연계기관의 정책을 따르고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