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상담실습 비교과 교육과정의 필요성 연구 : 기독교교육상담학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Necessity of the Extracurricular Counseling Practicum Curriculum : Focusing on the Christian Educational Counseling

박미라

초록

영어

The extracurricular curriculum provides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grow and develop in various aspects beyond academics, offering an important chance to prepare for the future. Effective extracurricular educational activities during university life not only enhanc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college experience but also influence various aspects of their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Furthermore, the extracurricular curriculum needs to fulfill the following functions. The extracurricular counseling practicum curriculum can serve as an opportunity for undergraduate trainees to further learn and grow through practical experiences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the following aspects should be improved. First, a structured system for extracurricular counseling practicum should be established. This study specifically suggests a. extracurricular counseling practicum programs linked with university institutions, b. extracurricular counseling practicum programs connected with external organizations, and c. extracurricular counseling practicum programs integrated with online platforms and remote counseling, presenting various directions for institutional collaboration.

한국어

비교과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학문적인 영역뿐만 아니라 다양한 측면에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미래를 대비하는 데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 각 대 학들 마다 여러 종류의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학생들 또한 다양한 교육 활동 형태의 비교과를 필요로 하고 있다. 대학생활 중의 효과적인 비교과 교육활동은 대학 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 줄 뿐만 아니라, 학교적응에 관한 여러 다양한 측면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과 교육과정은 다음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 한 필요가 있다. 첫째, 학생들에게 비교과 프로그램 및 활동의 로드맵을 제공하여 자 신의 진로를 위한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감당한다. 둘째, 정규교육과 정에서 이루어지기 어려운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수업에서 습득한 이론적 지식을 실제 적용할 기회를 제공하는 데 그 필요가 있다. 셋 째,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침을 제공하고, 비교과 자원의 배분 및 운영을 효율화하는데 그 필요가 있다. 비교과 상담실습 교육과정은 경험이 부족한 학부의 학 생들에게 현장을 배우고 미래의 예비 상담자로 성장하는 기회로 제공할 수 있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개선되기를 제안하는 바이다. 첫째, 비교과 상 담실습 구조와 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a. 대학 내 기관과 연계하는 비교과 상담실습 프로그램 b. 외부 기관과 연계하는 비교과 상담실습 프로그램 c. 온 라인 플랫폼 및 원격 상담 연계하는 비교과 상담실습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제시하 여 다양한 기관연계 방향을 제시하였다. 둘째, 실습 기관 측에서는 상담자와 내담자 모두를 위한 프로그램의 평가 및 개선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실 습관련자들의 인식개선과 실습생을 위한 체계의 구축, 다양한 활동 지원 등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상담관련 비교과 교육과정의 연구의 의의는 상담전공 학부생과 관련된 비교과 상담실습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매우 부족하기에 앞으로의 비교과 상담실습에 관한 후속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상담전공학생들의 비교과 교 육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짐으로 인해 학생들에게 다양한 비교과 상담실습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이론적 고찰
1. 비교과 교육과정의 이해
2. 비교과 교육과정의 필요성
3. 상담실습 비교과 교육과정의 연구
III.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미라 Park, Mi-La. 성결대학교 교수 / 실천신학 / 기독교교육상담

참고문헌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