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educational drama based on Gilles Deleuze’s philosophy of differentiation. Deleuze conceptualizes differentiation as a process in which encounters with the other lead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self into something new. Viewing educational drama as a practical realization of differentiation, this study explores its significance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 educational drama enhances becoming as a bodily capacity. Learners engage in dramatic situations by utilizing their bodies to construct new meanings and strengthen their bodily capacities through sensory experiences that redefine their relationship with the world. Second, educational drama functions as a space of micro-perception, enabling learners to experience the “here and now.” Micro-perception operates by capturing the affective and sensory atmosphere that emerges dynamically within situations. Through dramatic contexts, educational drama sharpens learners’ ability to perceive subtle emotions and sentiments. Third, educational drama actualizes Deleuze’s concept of nomadism. Through the processes of de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educational drama allows learners to explore diverse identities and perspectives, thereby generating new relationships and meanings. This study contributes to reinterpreting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educational drama by theoretically examining it through the lens of Deleuze’s differenti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들뢰즈의 ‘차이 생성’ 철학을 기반으로 교육연극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들뢰즈의 차이 생성은 나와 다른 것이 만나면서 나 자신이 새로운 무언가로 변모하게 되는 과정이다. 본 연구는 교육연극을 차 이 생성의 실천적 구현으로 보고, 들뢰즈의 철학에 기반하여 교육연극의 의미를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 하였다. 첫째, 교육연극은 되기로서의 신체 역량 강화한다. 학습자는 극적 상황 속에서 자신의 신체를 활 용하여 새로운 의미를 구성하고, 감각적 경험을 통해 세계와의 관계를 재설정하는 과정에서 신체 역량 을 강화한다. 둘째, 교육연극은 미세 지각의 장으로서 ‘지금-여기’를 체험하게 한다. 미세 지각은 상황 속에서 약동하며 생성되는 정념적·감각적 분위기 자체를 포착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교육연극은 학 습자가 극적 맥락 속에서 미묘한 감정과 정서를 기민하게 포착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교육연극은 들뢰 즈의 노마디즘을 실현한다. 교육연극은 탈영토화와 재영토화의 과정에서 학습자가 다양한 정체성과 관 점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관계와 의미를 창출하게 한다. 본 연구는 들뢰즈의 차이 생성을 기반으로 교육연극의 의미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여 교육연극의 의미와 가치를 재조명하였다는 데 그 의 의가 있다.
목차
Ⅰ. 들어가며: 들뢰즈와 교육연극의 만남
Ⅱ. 되기로서의 신체 역량 강화
Ⅲ. 미세 지각의 장으로서 ‘지금-여기’
Ⅳ. 노마디즘의 실현
Ⅴ.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