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ingle Case Study of Art Therapy to Reduce Anxiety and Aggression in Adult Women Who Experienced Child Abuse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anxiety and aggression in adult women who experienced childhood abuse.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45-year-old woman who lived in P City and experienced childhood abuse. She participated in art therapy for a total of 25 sessions of 60 minutes, once a week. As a research tool, the ASR (Adult Self Report) scale test and the projected picture test HTP (House-Tree-Person) were administered pre- and post-test to measure changes in anxiety and aggression, and the changes were compared. In addition, observation logs and photos of works were collected from each session and qualitative chang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SR test, anxiety, which is an internalizing problem, and aggression, which is an externalizing problem, decreased, and anxiety-related scores on the DSM diagnostic scale also showed positive changes. Second, in the HTP drawing test, the intensity and emphasis of lines reflecting anxiety and aggression shown in the pre-test changed to stable and simple lines in the post-test.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ositive changes in the research subjects were confirm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art 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anxiety and aggression in adult women who experienced childhood abuse, and are significant in providing basic data through empirical cases in clinical settings.
한국어
이 연구는 미술치료가 아동기 학대를 경험한 성인 여성의 불안과 공격성에 미치는 효 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A시에 거주하는 아동기 학대 경험을 가진 45 세 여성으로, 주 1회, 60분씩 총 25회기에 걸쳐 미술치료에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불 안과 공격성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ASR(Adult Self Report) 척도 검사와 투사 그림 검 사 HTP(House-Tree-Person)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여 그 변화를 비교하였다. 또한, 매 회기 관찰 기록 일지와 작품 사진을 수집하여 질적변화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SR 검사에서 내재화 문제인 불안과 외현화 문제인 공격성이 감소하였으며, DSM 진단 척도의 불안 관련 점수도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둘째, HTP 그림 검사에서는 사전 검사에서 나타난 불안과 공격성을 반영한 선의 강도와 강조 표현이 사후 검사에서 안정적이고 단순한 선으로 변화하여 연구대상의 심리적 안정과 긍 정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치료가 아동기 학대를 경험한 성인 여 성의 불안과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하며, 임상 현장에서의 경험적 사례 로 기초자료를 제공한 데 의의가 있다.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 도구
Ⅲ. 연구 결과
1. 미술치료 회기별 변화
2. 불안 및 공격성 사전・사후 변화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