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발표

이야기 쓰기 연구 동향 : 2015-2024년 국내 학위 및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초록

한국어

본 연구는 2015-2024년까지의 이야기 쓰기와 관련된 국내 학위 및 학술지 논문을 수집하고 분석하 여 향후 이야기 쓰기 중재 프로그램과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선정된 논문은 2015-2024년 동안 발행된 국내 학위 및 학술지 논문으로 총 18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대상자의 유형은 일반 아동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일반 학생을 비교군으로 둔 연구가 각 9편으로 나타났고, 장애군 의 경우 경도 지적장애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도구는 글을 이용한 주제를 제시한 연구 가 8편으로 가장 많았고, 영상을 이용한 연구가 4편으로 나타났다. 연구과제는 1가지만 수행한 연구 가 10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과제의 유형으로는 이야기 쓰기와 함께 설명문과 논설문 쓰기가 나타났 는데 각각 5편, 1편으로 나타났다. 연구 내용으로는 이야기 문법이 13편, 구문 복잡성과 어휘 다양도 가 각 8편, 결속표지 5편, 완전한 일화 수와 문장부호 사용이 각 1편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야기 쓰 기 과제 수행의 결과 분석에 사용한 방법으로 이야기 문법이 가장 우세하고, 구문 복잡성과 쓰기 유 창성, 어휘 다양도, 결속표지로 쓰기 내용과 구성을 분석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이야기 쓰기와 관련된 국내 학위 및 학술지 연구를 분석하여 향후 이야기 쓰기 중재 프로그 램과 연구 방향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문헌 선정 기준
2. 문헌 수집 절차
Ⅲ. 연구 결과
1. 이야기 쓰기 논문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예린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언어치료전공
  • 김화수 대구대학교 언어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학술발표대회집, 워크숍 자료집 중 4페이지 이내 논문은 '요약'만 제공되는 경우가 있으니, 구매 전에 간행물명, 페이지 수 확인 부탁 드립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