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발표

듣기, 읽기, 영상으로 제시되는 미디엄 유형에 따른 경도 지적장애 성인의 간접화행 이해 능력

초록

한국어

본 연구는 경도 지적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듣기, 읽기, 영상으로 제시되는 미디엄에 따른 간접화행 이해 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언어연령 9~11세에 해당하는 경도 지적장애 성인 15명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학생 15명을 모집하여 듣기, 읽기, 영상으로 제작한 미디엄에 따른 간접화 행 이해 능력 검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두 집단 간 간접화행 이해 능력의 차이와 듣기, 읽기, 영상으로 제시되는 미디엄 유형에 따른 간접화행 이해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간접화행 이해 과제의 오류 유형에 대한 차이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경도 지적장애 성인은 일반학생보다 듣기, 읽기, 영상으로 제시되는 모든 미디엄 유형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간접화행 이해 점수를 보였 다. 둘째, 경도 지적장애 성인은 영상, 듣기, 읽기 순으로 높은 간접화행 이해 능력을 보였으며, 미디 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간접화행 이해 과제에서 나타난 오류 유형은 경도 지적 장애 성인은 직접화행 오류, 일반학생은 맥락 일부를 사용한 추론적 오류 빈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경도 지적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듣기, 읽기, 영상 미디엄에 따른 간접화행 이해 능력을 비교하여 살 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경도 지적장애 성인의 미디엄에 따른 간접화행 이해 능력 연구 및 중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절차
Ⅲ. 연구 결과
1. 듣기, 읽기, 영상 미디엄에 따른 간접화행이해 능력
2. 듣기, 읽기, 영상 미디엄에 따른 간접화행이해 과제의 오류 유형 비교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윤정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언어치료전공
  • 김화수 대구대학교 언어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