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발표

발달장애 청소년의 한글 자음과 연상색채에 관한 연구

초록

한국어

본 연구는 인간의 삶에 필수적인 요소이면서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언어와 색채간의 관계를 탐 구하고자 하였다. 발달장애 청소년 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우리나라 한글의 기본 자 음인 14자(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에 복합자음 5자(ㄲ, ㄸ, ㅃ, ㅆ, ㅉ)를 포함하여 19자음과 국가기술표준원에서 제시한 유채색과 무채색 15가지를 기반으로 설문지를 구성하 였다. 설문방법은 한글 자음과 색채 보기를 제시하여 연상되는 색채를 선택하도록 하였고, 반대로 색 채를 제시하고 각 색채마다 연상되는 자음을 기입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한글 자음에 대해 연상되는 색채를 고르는 설문 결과 ‘ㄱ’은 자주(RP)와 갈색(Br)이, ‘ㄴ’은 노랑(Y)이, ‘ㄷ’은 갈색(Br)이, ‘ㄹ’은 청록(BG)과 주황(YR)이, ‘ㅁ’는 빨강(R)이, ‘ㅂ’는 보라(P)가, ‘ㅅ’는 연두(GY)가, ‘ㅇ’은 주황(YR) 이, ‘ㅈ’은 주황(YR)이, ‘ㅊ’은 남색(PB)이, ‘ㅋ’는 회색(Gy)이, ‘ㅌ’는 자주(RP)와 흰색(Wh)이, ‘ㅍ’는 파랑 (B)이, ‘ㅎ’는 흰색(wh)이, ‘ㄲ’는 분홍(Pk)이, ‘ㄸ’는 빨강(R)과 갈색(Br)이, ‘ㅃ’는 빨강(R)이, ‘ㅆ’는 연두 (GY)가 , ‘ㅉ’는 남색(PB)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주어진 색채에 따라 연상되는 한글 자음을 고르는 설문결과 ‘빨강(R)’는 ‘ㅃ’이, ‘회색(Gy)’는 ‘ㅎ’이, ‘파랑(B)’은 ‘ㅍ’이, ‘자주(RP)’는 ‘ㅈ’이, ‘분홍(Pk)’은 ‘ㅂ’이, 갈색(Br)은 ‘ㄱ’이, ‘연두(GY)’는 ‘ㅇ’이, ‘검정(Bk)’은 ‘ㄱ’이, ‘노랑(Y)’은 ‘ㄴ’이, 청록 (BG)’은 ‘ㅊ’이, ‘보라(P)’는 ‘ㅂ’이, ‘주황(YR)’은 ‘ㅈ’이, ‘초록(G)’은 ‘ㅊ’이, ‘흰색(Wh)’은 ‘ㅎ’이, ‘남색(PB)’ 은 ‘ㄴ’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발달장애 청소년들은 색채를 보았을 때 가장 먼저 연상하는 언어가 색채의 이름임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자음을 보며 색채를 연상할 때 색채 분포도가 다양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발달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도 일반인 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마찬가지로 자음을 제공했을 때 색 경험이 한글의 문법 구조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수집
Ⅲ. 연구 결과
1. 한글 자음마다 연상되는 색채
2. 색채마다 연상되는 한글 자음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다은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언어치료전공
  • 김화수 대구대학교 언어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학술발표대회집, 워크숍 자료집 중 4페이지 이내 논문은 '요약'만 제공되는 경우가 있으니, 구매 전에 간행물명, 페이지 수 확인 부탁 드립니다.

      • 3,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