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피인용수 : 0건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목차
1. 서론
2. 번역 활동과 기술 방법, 그리고 고대 한국어 번역 작업의 특징
2.1. 번역운동과 번역 활동
2.2. 번역 활동의 팽창기와 수축기, 그리고 전환기
2.3. 구결과 번역, 그리고 언해
3. 한국어 번역사의 수축기 기술
3.1. 불교 전경의 번역 활동
3.2. 유교 경전의 번역 활동
4. 수축기 형성 원인의 분석
4.1. 경서의 현지화 과정
4.2. 한글 보급의 결과
4.3. 정치·사회적 불안정
4.4. 지식층의 언어 사용
5. 결론
참고문헌
2. 번역 활동과 기술 방법, 그리고 고대 한국어 번역 작업의 특징
2.1. 번역운동과 번역 활동
2.2. 번역 활동의 팽창기와 수축기, 그리고 전환기
2.3. 구결과 번역, 그리고 언해
3. 한국어 번역사의 수축기 기술
3.1. 불교 전경의 번역 활동
3.2. 유교 경전의 번역 활동
4. 수축기 형성 원인의 분석
4.1. 경서의 현지화 과정
4.2. 한글 보급의 결과
4.3. 정치·사회적 불안정
4.4. 지식층의 언어 사용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