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형 포괄적 학교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과정 탐색

원문정보

Explor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a Korean Version of Comprehensive School Physical Activity Program

백준형, 이진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mprehensive School Physical Activity Program (KVCSPAP), which was designed to address the severe physical inactivity among Korean youth. Based on the Comprehensive School Physical Activity Program (CSPAP) framework widely implemented in countries like the United States, KVCSPAP incorporates five core components: quality physical education, physical activity during school hours, physical activity outside school hours, staff involvement, and family and community engagement. The program was developed using the ADDIE model, emphasizing systematic analysis, design, and evaluation to ensure its applicability in the Korean context. The result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incorporating psychological and social motivational theories to foster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efficacy in physical activity. Through collaboration with Physical Activity Leaders (PALs) and other stakeholders, the study implemented various physical activity initiatives, including morning exercise clubs, active recess programs, and after-school sports clubs. The findings suggest that a holistic and structured approach, integrating school and community resources, can effectively promote sustainable physical activity habits among students. This research provides a pioneering framework for implementing CSPAP in Korean schools and contributes to the broader discourse on enhancing physical education and student health policies.

한국어

이 연구는 한국 어린이 및 청소년의 심각한 신체 비활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한국형 포괄적 학교 신체활동 프로그램(KVCSPAP)’의 개발 과정을 심층적으로 탐구는데 목적이 있다. 이 프 로그램은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는 ‘포괄적 학교 신체활동 프로그램(CSPAP)’의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질 높은 체육 수업, 학교 시간 중 신체활동, 학교 외 시간 신체활동, 교직원 참여, 가족 및 지역사회 연계라는 5가지 핵심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KVCSPAP는 ADDIE 모 델(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을 활용해 체계적으로 개발되었으며, 한국적 교육 환경과 정책적 맥 락에서의 적합성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학교 환경에서 CSPAP의 실현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를 기반으로 학생들의 신체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와 총체적인(Holistic) 실행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특히, 한국의 상황에 맞춘 CSPAP 개발 및 실행에 관 한 새로운 지식 기반을 구축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이 연 구는 앞으로 CSPAP의 확산과 정착을 위해 필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교육 환경에서 학생들의 신체활동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함으로써 학교 체 육 및 신체활동 증진 정책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2. 자료 수집 및 분석
3. 연구의 질실성 및 윤리
Ⅲ. 연구결과
1. KVCSAP 개발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백준형 Junhyung Baek.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 이진형 Jinhyeong Lee. 일산은행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