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스타그램 협찬 리뷰에서 휴리스틱 단서인 사회적 거리감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정보원 신뢰도와 정보 신뢰도의 이중매개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Social Distance as Heuristic Cues on Brand Attitude in Instagram Sponsored Reviews :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Source Credibility and Information Credibility

강보웅, 여민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how the “like” feature on Instagram functions as a heuristic cue in sponsored review posts and its impact on brand attitude through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source credibility and information credibility. Specifically, the research explores how consumers perceive social distance when they see a “like” from a followed friend or influencer on a particular sponsored review post, which reduces perceived social distance and influences trust and attitude formation. The findings reveal that a “like” from a friend or influencer makes consumers perceive closer social distance, which sequentially mediates the effects of source credibility and information credibility on brand attitude. However, social distance does not directly influence information credibility; its impact is significant only through the dual mediation of source and information credibility. This study confirms that Instagram’s “like” feature, as a heuristic cue, plays a crucial role in shaping consumer trust and brand attitude. These findings provide actionable insights into consumer behavior in social media environment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latform-based marketing strategies.

한국어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 협찬 리뷰 게시물에서 소셜 미디어의 ‘좋아요’ 기능이 휴리스틱 단서로 작용하 여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정보원 신뢰도와 정보 신뢰도의 이중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는 소비자가 팔로우하는 친구나 인플루언서가 특정 협찬 리뷰 게시물에 ‘좋아요’를 누른 경우 해당 정보를 알 수 있으며, 소비자가 사회적 거리감을 가깝게 느끼게 되는데 이러한 사회적 단서가 신 뢰와 태도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친구나 인플루언서의 ‘좋아요’는 소비 자가 사회적 거리감을 가깝게 지각하게 하며, 이는 협찬 리뷰를 작성한 정보원 신뢰도와 정보 신뢰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사회적 거리감이 정보 신뢰도에 직 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며, 정보원 신뢰도와 정보 신뢰도의 이중매개 효과를 통해서만 브랜드 태도 형성에 유의미한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휴리스틱 단서인 인스타그램의 ‘좋아요’ 기능이 소비자 신뢰와 브랜드 태도 형성의 중요한 단서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소비자 행동을 이해하고, 플랫폼 기반의 마케팅 전략 설계에 기여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도출
2.1 휴리스틱 단서: 사회적 거리감
2.2 정보원 신뢰도
2.3 정보 신뢰도
2.4 브랜드 태도
Ⅲ. 연구방법
3.1 실험 설계 및 절차
3.2 변수 측정
Ⅳ. 연구결과
4.1 인구통계학적 특성
4.2 조작점검
4.3 연구가설 검정
Ⅴ. 결론
5.1 연구 요약
5.2 시사점
5.3 연구 한계 및 향후 연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보웅 Bowoong Kang. 울산대학교 경영학부 글로벌경영학전공 학부생
  • 여민선 Minsun Yeu. 울산대학교 경영학부 경영학전공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