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The Impact of Perceived Uncertainty about Microplastic Risks on the Intention to Take Responsive Action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istrust in Science and Risk Percep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Distance

원문정보

미세플라스틱 위험에 대한 불확실성 인식이 대응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과학불신과 위험인식의 매개효과와 심리적 거리감의 조절효과 중심

Hyejung Kim, Hyemi Lee, Yoomi Kim, Yungwook K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how uncertainty about microplastic risks influences individual's intentions to take responsive actions,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s of distrust in science and risk perception, and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distance. Findings show that perceived uncertainty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intention to act; however, it positively impact both distrust in science and risk perception. Uncertainty was found to increase intention through risk perception but decrease it through distrust in science. Additionally, psychological distance moderates these pathways: among those with a closer psychological distance, uncertainty positively impacts intentions to act through risk perception, while for those with greater psychological distance, uncertainty leads to lower intentions due to distrust in science. Based on these results, conclusions were drawn from a communication strategy perspective,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한국어

이 연구는 미세플라스틱 위험을 둘러싸고 사람들이 느끼는 불확실성이 대응행동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색하였다. 이 과정에서 매개변수로서 과학불신과 위험인식의 작용을 살펴보고, 심리적 거리감의 조절효과를 함께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미세플라스틱 위험에 관한 불확실성 인식은 대응행동 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과학불신과 위험인식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불확실성 인식은 위험인식을 매개하여 대응행동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과학불신과 위험인식을 모두 매개하는 경로를 통해서는 대응행동 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심리적 거리감이 가까운 집단에서는 불확실성 인식이 위험인식을 통해 대응행동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심리적 거리감이 먼 집단에서는 불확실성 인식이 과학불신을 통해 대응행동 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커뮤니케이션 전략 관점에서 결론을 도출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I. 서론
II. 문헌연구
1. 미세플라스틱 위험 이슈와 불확실성
2. 과학적 불확실성과 불확실성 인식이 대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3. 불확실성 인식과 과학불신, 그리고 위험인식의 역할
4. 심리적 거리감의 작용
III. 연구 방법
1. 연구설계 및 표본
2. 주요 변수의 측정
3. 분석 방법
IV. 연구 결과
1. 주요 변수의 상관관계
2. 불확실성 인식이 과학불신, 위험인식, 대응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3. 과학불신과 위험인식의 매개효과
4. 심리적 거리감의 조절효과
V. 결론 및 논의
Acknowledgement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Hyejung Kim Division of Communication & Media at Ewha Womans University
  • Hyemi Lee Department of Consumer Studies at Ewha Womans University
  • Yoomi Kim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at Ewha Womans University
  • Yungwook Kim Division of Communication & Media at Ewha Womans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