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급간부 충원 위기극복을 위한 간부사관제도 발전방안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Expansion of the Officer System to Overcome the Crisis of Filling Junior Officers

강호니, 박효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s measures for the warrant officer system to overcome the recruitment crisis caused by the decline in applications for junior officers and the early discharge of mid-level officers. To this end, the study focused on warrant officers as the research subjects and employed both literature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with relevant personne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quota for warrant officers should be expanded, and field unit promotions should be strengthened. Second, it is necessary to amend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the selection and personnel management of warrant officers. Third, the training period, curriculum, and content for warrant officers should be systematically improved. Through these measures, the military can internally address the recruitment of junior officers, thereby enhancing combat capabilities and ensuring stable personnel supply.

한국어

본 연구는 초급간부의 지원하락과 중간간부들의 조기 전역으로 인한 충원위기 극복을 위한 간부사관제도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을 간부사관으로 한정하였으며, 연구방법은 문헌분석과 관련자 FGI 를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부사관의 정원을 확대하고 야전부대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 둘 째, 간부사관의 선발 및 인사관리에 관한 법령 개정이 필요하다. 셋째, 간부사관 교육기간 및 교육내용과 커리큐럼 을 체계적으로 보완해야 한다. 이를 통해 초급간부의 충원을 내부적으로 해결하여 군 전투력 향상 및 인력수급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고 본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초급장교 임용제도와 간부사관제도의 변천
Ⅲ. 초급간부 충원 및 현실태 분석
3.1 초급간부 충원과 간부사관제도 현실태 분석
3.2 간부사관제도와 임관 실태
3.3 초급간부 충원 위기의 문제점
3.4 간부사관 정원 확대에 관한 FGI설문 결과
Ⅳ. 초급간부 충원을 위한 제도 발전방안
4.1 간부사관 제도에 대한 홍보활성화
4.2 간부사관 제도의 정원 확대
4.3 「군인사법」 개정 및 제도개선
4.4 간부사관 교육과정의 체계화 정립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강호니 Ho-Ni Kang.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 박효선 Hyo-Sun Park. 청주대학교 군사학과/국방안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