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기 염료의 흡착 성능 향상을 위한 산 처리 활성탄의 제작

원문정보

Preparation of Activated Carbons by Acid Treatments for Enhanced Adsorption of Organic Dyes

박소현, 이예영, 이민준, 조영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dustrialization has led to the release of various harmful substances, intensifying environmental pollution. Wastewater from textile, dye, and pigment industries, in particular,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water pollution. Typical water pollutants include Methylene Blue (MB) and Methyl Orange (MO).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adsorption performance for MB and MO by surface treatment activated carbon with acidic solutions. Coal-based granular activated carbon and coconut shell-based granular activated carbon were used, with acetic acid and sulfuric acid solutions employed in the impregnation method to produce acid-treated activated carbon. Acid treatment of coal-based activated carbon resulted in improved adsorption capacity for MB and MO compared to untreated activated carbon, with acetic acid-treated carbon showing better performance than sulfuric acid-treated carbon due to the effects of surface functional groups. Excessively high concentrations of impregnation solutions reduced pore volume or caused pore blockage, so concentration levels were controlled to optimize adsorption performance. For acid-treated coconut shell activated carbon, due to its smaller pore size, the concentration of the impregnation solution was adjusted to a lower range.

한국어

최근 산업화로 인해 다양한 유해물질이 발생하면서 환경 오염 문제가 심화되고 있으며, 섬유, 염료 및 안료 관 련 산업에서 배출하는 폐수로 인한 수질 오염이 심각하다. 대표적인 수질 오염 물질로는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 MB)와 메틸오렌지(Methyl Orange, MO)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활성탄을 산성 용액으로 표면 처리함으로써 MB와 MO 대한 흡착성능을 향상하고자 한다. 활성탄은 석탄계 조립 활성탄과 야자계 입상 활성탄을 사용하였으며, 산 처 리 시에는 초산과 황산 용액을 사용하여 함침법으로 첨착 활성탄을 제조하였다. 석탄계 활성탄을 산으로 처리할 경 우 기존 활성탄보다 MB, MO에 대한 흡착성능이 향상되었으며, 황산처리 활성탄 보다 초산처리 활성탄이 표면 작 용기의 영향으로 흡착 능력이 더욱 우수해졌다. 농도가 과하게 높은 첨착 용액으로 표면처리 할 경우, 활성탄의 기공 부피가 줄거나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농도를 조절하며 흡착성능을 비교하였다. 야자 활성탄을 산으로 처 리하는 경우에는 기공 크기가 작은 것을 고려하여 첨착 용액의 농도를 더 낮은 범위에서 조절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2.1 실험 재료
2.2 분석 기기
2.3 활성탄 산처리 및 염료 흡착
Ⅲ. 연구결과
3.1 산처리 활성탄의 표면 가공
3.2 산처리 활성탄 SEM 이미지 분석 및 표면 기공 크기 분석
3.3 초산처리 활성탄 조성 분석
3.4 산처리 활성탄의 MB 흡착 결과
3.5 동일한 농도에서 초산처리, 황산처리활성탄의 흡착 결과 비교
3.6 황산과 초산으로 표면 처리한 활성탄의 MB 흡착 결과
3.7 초산처리 활성탄의 MO 흡착 결과
3.8 초산처리 조립 활성탄과 초산처리야자 활성탄의 흡착 결과 비교
3.9 석탄 기반 분말 활성탄의 흡착 결과
Ⅳ.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박소현 So-Hyeon Park. 한국공학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학부생
  • 이예영 Yea-Young Lee. 한국공학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학부생
  • 이민준 Min-Jun Lee. 한국공학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학부생
  • 조영상 Young-Sang Cho. 한국공학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