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Impact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Marital Intimacy and Quality of Life on Successful Aging in Middle-aged Adults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among health-promoting behaviors, marital intimacy, quality of life, and successful aging, while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aging in middle-aged adul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October 2 to November 22, 2024, targeting 144 adults aged 40 to 64 residing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nam-do. The analysis conducted using SPSS 22.0 revealed that the mean scores for health-promoting behaviors, marital intimacy, quality of life, and successful aging were 2.78±0.36, 3.41±0.60, 3.42±0.43, and 3.69±0.44, respectively. Successful aging demonstra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r=.57, p<.01), marital intimacy (r=.40, p<.01), and quality of life (r=.69, p<.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quality of life (β=.562, p<.001)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β=.418, p<.00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accounting for 56.8% of the variance.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cessity of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aimed at enhancing quality of life and promoting sustained health-promoting behaviors to support successful aging among middle-aged adults.
한국어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이 지각하는 건강증진행위, 부부친밀감, 삶의 질과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중년기 성공적 노화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2024년 10월 2일부터 11월 22일까지 경기도와 충남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40세 이상 65세 미만의 성인 남녀 144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건강증진행위, 부부친밀감, 삶의 질, 성공적 노화의 평균 점수는 각 2.78±.36점, 3.41±.60점, 3.42±.43점, 3.69±.44점이었으며, 성공적 노화는 건강증진행위(r=.57, p<.01), 부부친밀감(r=.40, p<.01), 삶의 질(r=.69, p<.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성공적 노화에는 삶의 질(β=.562, p<.001)과 건강증진행위(β=.418, p<.001)가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설명력은 56.8%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기 성인의 성공적 노화 를 위해 삶의 질을 높이고, 지속적인 건강증진행위 향상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자료 수집 방법 및 윤리적 고려
2.5 자료 분석 방법
Ⅲ.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부부친밀감, 삶의 질, 성공적 노화
3.3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부부친밀감, 삶의 질, 성공적 노화
3.4 건강증진행위, 부부친밀감, 삶의 질, 성공적 노화 간의 상관관계
3.5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