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ays to increase people's engagement and related activism intentions to enable successful social movements through social media. Increasing people'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s essential for social movements to succeed, but social loafing and lack of responsibility have a negative impact on people's interest and participation. Therefore, we proposed to increase people's interest and participation through social media campaigns. We also wante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green consumption value to identify psychological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social media campaign participation. Using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who are familiar with social media, we found that participants' perception of environmental problem increas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social media campaign compared to before participating. In addition, perception of environmental problem increased carbon-neutrality activism intention, which was mediated by carbon-neutrality policy preference. The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 when green consumption value were high, but not when they were low.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rticipation in social media campaigns can increase perception of environmental problem and activism intentions, and that 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an individual's greenness should be considered for more effective campaigns. Finally, we further discuss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한국어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성공적인 사회 운동이 가능하도록 사람들의 참여와 관련된 행동 의도를 높이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사회 운동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사회 태만이나 책임감의 부재는 사람들의 관심과 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사람들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는 방안을 소셜 미디어 캠페인을 통해 제안하고자 했다. 또한 소셜 미디어 캠페인 참여 효과를 높이는 심리학적 개인차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녹색 소비 가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소셜 미디어에 친숙한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소셜 미디어 캠페인 참여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참가자들은 참여 전보다 참여 후 환경문제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다. 또한 환경문제에 관한 관심은 탄소중립 행동 의도를 높였으며, 이 효과는 탄소중립 정책에 대한 선호를 통해 매개되었다. 또한 매개효과는 녹색 소비 가치가 높을 때 유의했고, 낮은 경우에는 그렇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소셜 미디어 캠페인의 참여가 사람들의 문제 인식 수준과 행동 의도를 높일 수 있으며, 더욱 효과적인 캠페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개인의 친환경과 관련된 심리적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끝으로 연구 결과 의미와 시사점에 대해 추가로 논했다.
목차
서론
이론적 배경
1. 소셜 미디어와 공공캠페인
2. SOR 프레임워크와 소셜 미디어 캠페인
3. 녹색 소비 가치(Green consumption value)의 조절효과
연구
1. 연구 설계 및 참가자
측정도구
1. 환경문제 인식(Perception of Environmental Problem)
2. 탄소중립 행동 의도(Carbon-Neutrality Activism)
3. 탄소중립 정책 선호(Carbon-Neutrality Policy Preference)
4. 녹색 소비 가치(Green Consumption Value; GCV)
연구 결과
전체 논의
1. 연구 결과 정리
2. 이론 및 실무적 함의
3. 연구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강두선, 장기훈 (2011). TV 드라마 여성음주장면에 대한 공감과 감정이입이 음주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성별 비교연구: 관여도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2(2), 349~378. doi:10. 21074/kjlcap.2011.12.2.349
- 2김지혜, 김병희 (2017).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정부 PR 연구: 정부 PR 실무자와 SNS 전문가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광고PR실학연구, 10(1), 32~67. doi:10.21331/jprapr.2017.10.1.002
- 3김현정, 김범수 (2023). 스마트기기 활용역량과 프라이버시 우려: 온라인 사회참여 활동과 정보 사실성 판단능력의 매개효과 및 프라이버시의 조절효과. 지식경영연구, 24(1), 51~72. doi:10.15813/kmr.2023.24.1.003
- 4노환호, 이태준, 고명철 (2022). COVID-19 상황 인식이 백신 접종 의향에 미치는 영향-MZ 세대가 갖는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risisonomy, 18(1), 69~86.
- 5서미, 김지혜, 이태영, 김은하 (2019). 비자살적자해와 극복과정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상담경험이 있는청소년을 대상으로. 상담학연구, 20(4), 179~207. doi:10.15703/kjc.20.4.201908.179
- 6이병관, 노환호, 임혜빈 (2017). 복합감정 광고메시지가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해석수준의 조절효과를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8(5), 67~95. doi:10.14377/KJA.2017.7.15.67
- 7이종남, 한상미, 김가희 (2020).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7(4), 97~117. doi:10.21509/KJYS.2020.04.27.4.97
- 8이태준, 노환호, 이병관 (2022). 틱톡 챌린지 (TikTok Challenge) 참여가 탄소 중립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영향: 틱톡 챌린지 태도와 정부 신뢰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23(2), 105~127. doi:10.21074/kjlcap.2022.23.2.105
- 9정선미, 김상조 (2021). SNS Text 빅데이터의 의미연결망분석에 의한 뉴트로 소비자 행동척도개발에 관한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40(1), 59~83. doi:10.29214/damis.2021.40.1.004
- 10최모세, 김상진 (2020). MZ 세대의 틱톡 이용 동기가 만족도와 챌린지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62, 2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