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hanging professional noticing in maths lessons through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using educational technology
초록
영어
Although the use of educational technologies in mathematics teaching is gradually increasing, research on teachers' perceptions of mathematics teaching using these technologies is limited. This study developed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to train in-service primary school teachers to effectively integrate educational technologies into their mathematics teaching. It analysed how teachers' professional noticing changed as a result of participating in this program. As part of the program, participants wrote an analysis paper after observing mathematics lesson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y compared their papers at the end of the program. The study found that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enabled teachers to focus more on the purpose and intention of using educational technology in mathematics teaching. However, there was a slight decrease in the tendency of teachers to propose new alternatives for the use of educational technologies or other teaching strategies. The main elements of teachers' change are teacher's considering the purpose of technology in mathematics teaching and focusing on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eachers' education in integrating educational technologies in mathematics teaching were discussed.
한국어
수학수업에서 공학도구의 활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으나 공학도구를 활용한 수학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노티싱 및 인식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현직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수학수업에서 공학도구를 유의미하게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이를 통해 교사의 노티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후에 공학도구를 활용한 동일한 수학수 업 1편을 시청하고 그에 대한 분석지를 작성하게 한 후 그 결과를 교사 노티싱의 관점으로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수학수업에서 공학도구를 활용하는 목적 및 의도에 더욱 초점을 두고 수업 현상을 주목였으나, 자신이 관찰한 수업에서 공학도구를 활용하는 방법이나 그 외 교수⋅학습 전략에 대해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경향성은 다소 감소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를 이끈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원인으 로는 공학도구 역할에 대한 논의와 학생의 활동과 의사소통으로의 관점 전환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공학도구를 활용한 수학수 업에 대한 교사교육과 관련하여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수학교사의 노티싱(noticing)
2. 공학도구 활용 수학수업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자료 수집
3. 자료 분석 방법
Ⅳ. 결과 분석
1. 교사 노티싱의 변화
2. 노티싱 변화의 내용과 그 이유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