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influence of resilience in the effects of focusing attitudes on post-traumatic growth and focusing attitudes on post-traumatic growth in adolescent Taekwondo athletes with indirect trauma experience, an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focusing attitude of adolescent Taekwondo athletes with indirect trauma experience had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Second, in the effect of focusing attitude on post-traumatic growth,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directly. Therefore, in the Taekwondo scene, where direct and indirect trauma is likely to occur, indirect trauma experience causes various negative symptoms, but rather than responding passively to these negative symptoms, such as avoidanc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cognize, relax, express, reflect, and accept post-traumatic symptoms by raising the level of focused attitude.
한국어
이 연구는 대리외상 경험이 있는 청소년 태권도 선수들의 포커싱적 태도가 외상 후 성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포커싱적 태도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적인 영향력을 검증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대리외상 경험이 있는 청소년 태권도 선수들의 포커싱적 태도는 외상 후 성장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포커싱적 태도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은 간접적으로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에 직, 간접적인 외상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태권도 장면에서 간접적인 외상 경험은 여러 부정적 증상들을 유발시키 지만 이러한 부정적인 증상들에 대해 회피와 같이 소극적인 대처를 하기보다 포커싱적 태도의 방법처럼 외상 후 증상들에 대해 적극적으로 알아차리고 여유를 가지며, 표현하고, 되새겨보며, 받아들임으로써 포커싱적 태도 수준을 제고시켜 위기를 성공의 원동력으로 바꾸어 더 높이 뛰어 오를 수 있는 심리적 능력인 회복탄력성 수준을 향상시켜 외상 후 성장 수준 을 제고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며, 이에 대리외상을 경험한 청소년 태권도 선수들의 포커싱적 태도 수준을 제고시킬 수 있는 심리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
4.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1. 포커싱적 태도와 회복탄력성 및 외상 후 성장간의 상관관계
2. 포커싱적 태도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