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역 일자리 정책 수립 지원을 위한 일자리 지표체계 개발

원문정보

Development of a Job Indicator System for Supporting Local Employment Policy

김수진, 윤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 formulate job policies tailored to regional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present information on regional labor markets, job availability, industry status, and job support project status, in addition to providing regional statistical data. Based on this recognition, this study aims to validate ‘regional job indicators’ for identifying regional job policies and projects. First, we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amples of existing job-related indicators and explored the contents of domestic job-related statistics and surveys along with available data to draft an indicator framework. The overall dimensions were categorized into four: ‘job environment’, ‘job quantity’, ‘job quality’, and ‘job service’ with sub-dimensions for each, producing an initial indicator framework. These indicators were validated by 15 experts, including local labor market specialists and regional employment experts. Based on this validation, a total of 59 indicators across 14 sub-dimensions within the 4 major dimensions were selected. This study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specified dispersed and extensive information from various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s into regional job indicato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potential to aid local governments in understanding and planning regional job projects by organizing which indicators are necessary to comprehend the status and information of the local labor market.

한국어

지역적 상황에 맞는 일자리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선 지역 단위 통계자료가 제공되는 것 이외에도 지역 노동시장과 일자리, 산업 현황, 일자리 지원사업 현황 정보가 목적성에 맞게 체계적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지역 일자리 정책과 사업을 발굴하기 위한 지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구성한 각 지표 들이 적절한지 검토하여 지역 일자리 지표체계를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일자리 유관 지표들의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고, 국내 일자리 관련 통계와 조사내용, 가용 데이터를 탐색하여 지표체계의 초안을 도출하였다. 지표체계는 ‘일자리 환경’, ‘일자리 양’, ‘일자리 질’, ‘일자리 사업’ 총 4개 차원으로 구분하였고, 각 차원별로 하위차원을 구성하여 지표체계를 1차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지 표 적절성 및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지역 노동시장 또는 지역고용정책 전문가 등 전문가 15명을 대상 으로 서면 조사를 하였다. 지표와 지표체계의 타당성 검증 과정을 거쳐 전체 4개 차원, 14개 하위차원 총 59개의 지표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방대하고 산발적으로 흩어진 통계 정보를 목적성에 맞게 지역 일자리 지표로 명시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지역 노동시장에 대 한 현황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어떤 지표들을 확인해야 하는지를 이해하고 파악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 로 보이며, 나아가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일자리 사업을 기획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일자리 지표의 국내외 활용 사례
1. 일자리 지표의 정의와 지역 통계 현황
2. 국내 일자리 지표 활용 사례
3. 해외 일자리 지표 활용 사례
Ⅲ. 지역 일자리 지표체계 개발
1. 연구 절차
2. 지표 타당화 분석 방법
3. 지역 일자리 지표 구성안 초안 도출
Ⅳ. 지역 일자리 지표 타당성 검증 결과
1. 지표 차원 타당도 검증 결과
2. 하위 차원별 지표 타당도 검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수진 Sujin, Kim.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
  • 윤지영 Jiyoung, Yoon.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