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After the digital transformati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nounced the curriculum reflecting the need for digital literacy. In addition, schools at all levels are preparing digital-based classes based on detailed contents related to digital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lthough the importance of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is increasing due to ecological and climate change, it is difficult to educate them as a rice subject rather than a central subject in the current curriculum. Accordingly, in this study, an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for education related to ecology and the environment was developed centering on 5th graders. In addition, a three-week program was conducted for 9 fifth-grade students, and the effectiveness was examined through pre- and post-testing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and ecological sensitivity verification questions. After the program, in the post-test, it was found that th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ques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changed positively, and in the ecological sensitivity question, it was found that the environmental problem recognition and attitude question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changed positively.
한국어
디지털 대전환 이후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디지털 소양의 필요성을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발표하였다. 또한 각급 학교에서는 디지털‧인공지능 관련 세부 내용을 기준으로 디지털 기반의 수업을 준비하고 있다. 생태‧기후 변 화에 따라 생태‧환경 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현재의 교육과정에서는 중심 교과가 아니라 볌교과로서 교 육하여 내실 있는 교육이 어려운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생태‧환경 관련 교 육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5학년 학생 9명을 대상으로 3주간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인공지능 이해 ‧활용 및 생태감수성 검증 문항을 통해 사전, 사후 검사로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사후 검사 중 인공지능의 이해와 인식 문항에서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을 볼 수 있었고, 생태감수성 문항에서 환경 문제 인식과 환경보호를 위한 태 도 문항에서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사례 연구
2.1. 생태 · 환경 교육의 개념
2.2. 생태․환경 인공지능 프로그램
3. 모델 개발
3.1. 연구 대상 및 기간
3.2. 프로그램 주제 선정
3.3. 활용가능 인공지능 에듀테크 분석
3.4. 교육과정 분석
3.5. 프로그램 설계
3.6. 과정중심평가 계획 수립
4. 모델 적용
4.1. 프로젝트 1: 우리 바다가 아파요
4.2. 프로젝트 2: 지구가 뜨거워지고 있어요
4.3. 프로젝트 3: 깨끗한 에너지가 필요해요
5. 효과성 분석
5.1. 인공지능 영역 사전, 사후 검사 분석
5.2. 환경 소양 영역 사전, 사후 검사 분석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