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Impact of COVID 19 Infection Anxiety and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mong Long-term Care Workers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OVID 19 infection and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among long-term care workers. The sampling was conducted from July to November in 2022. 234 long-term care workers were attended for this study in Seoul and Gyeonggi-d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long term care worker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Secon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COVID 19 infection anxiety and turnover inten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and social suppor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OVID 19 infection anxiety and turnover inten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 19 infection anxiety and turnover intention. Finally, based on this study results, discussions and some suggestions are made to prevent turnover intention for long-term care worker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의 코로나19 감염 불안감과 사회적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22년 7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장기요양기관에서 근무하는 234명의 요양보호 사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연구참여자의 연령대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요 변수 간의 상관분석 결과, 코로나19 감염불안감과 이직의도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는 코로나19 감염불안감 및 이직의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코로나19 감염 불안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 효과가 있음을 검증 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요양보호사의 이직을 방지를 위한 논의와 몇가 지 제언을 하였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코로나19 감염 불안감과 이직의도
2. 사회적지지와 이직의도
3. 코로나19 감염 불안감, 사회적지지, 이직의도의 관계
4.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자
2. 측정 도구
3. 자료 분석
Ⅳ. 연구결과
1.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
2.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3. 사회적지지의 조절 효과
V. 연구 결과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