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디지털 기술 관여도와 가상 인플루언서 친숙도 그리고 수용자의 성이 가상 인플루언서 광고태도와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Impact of Involvement, Familiarity, and Audience Gender on Virtual Influencer Advertising Attitude and Participation Intention

이동환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how audience characteristics affect responses to virtual influencers rather than real people through advertising attitudes and campaign participation intentions. As a result, first, the advertising attitude of the group with high involvement in digital technology was more positive toward campaigns featuring virtual influencer. However, the influence of technology involvement did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on campaign participation intention. Second, the advertising attitude of the group with high familiarity with virtual influencers was more positiv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results on participation intention. Third, men ha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advertising, and women had a more positiv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campaign. Next, we examined the interaction between digital technology involvement, virtual influencer familiarity, and gender. First, with regard to attitude towards advertising, a three-way interaction was shown within a limited level. In the case of men, the difference in familiarit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group with high technology involvemen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women, differences in familiarity tended to be large in groups with low technology involvement. Lastly, with regard to participation intention, a three-way interaction was shown within a limited level. For men, among groups with low technology involvement, participation intention was high in groups with high familiarity with virtual influencers. And in groups with high involvemen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tended to be high in groups with low familiarity. On the other hand, among women, within the group with low technology involvement, the participation intention was high in the group with low familiarity with virtual influencers. And among groups with high involvement, groups with high familiarity tended to have high participation intentions.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한국어

본 연구는 수용자 특성이 실존 인물이 아닌 가상 인플루언서에 대한 반응에는 어떠 한 영향을 미치는지, 광고태도와 캠페인 참여의도를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첫째, 가 상 인플루언서가 출연한 캠페인에 대해 디지털 기술 관여도가 높은 집단의 광고태도가 더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기술 관여도의 영향이 캠페인 참여의도에는 유의한 결과를 나 타내지는 않았다. 두 번째, 가상 인플루언서 친숙도가 높은 집단의 광고태도가 더 긍정 적이었다. 그러나 참여의도에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세 번째, 광고태도에 는 남성이, 캠페인 참여의도에는 여성이 더 긍정적이었다. 이어서 디지털 기술 관여도, 가상 인플루언서 친숙도, 성의 상호작용을 알아보았다. 먼저 광고태도에 대해서는 제한 된 수준 내에서 3원 상호작용을 나타냈다. 남성의 경우 기술 관여도가 높은 집단에서 친숙도의 차이가 크게 작용한 반면, 여성의 경우는 기술 관여도가 낮은 집단에서 친숙 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의도에 대해서는 제한된 수 준 내에서 3원 상호작용을 나타냈다. 남성의 경우, 기술 관여도가 낮은 집단에서는 가상 인플루언서 친숙도가 높은 집단의 참여의도가 높았으며, 관여도가 높은 집단에서는 친 숙도가 낮은 집단의 참여의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반면 여성의 경우는 기술 관여 도가 낮은 집단에서는 가상 인플루언서 친숙도가 낮은 집단의 참여의도가 높았으며, 관 여도가 높은 집단에서는 친숙도가 높은 집단의 참여의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 한 연구결과는 학문적 실무적 함의를 시사한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가설
1) 광고태도, 참여의도
2) 디지털 기술 관여도
3) 가상 인플루언서 친숙도
4) 수용자의 성(gender)
3. 연구방법
1) 표본
2) 광고물
3) 측정
4. 연구결과
1) 광고태도에 대한 관여도, 친숙도, 성의 영향
2) 참여의도에 대한 디지털 기술 관여도, 친숙도, 성의 영향
3) 광고태도가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동환 Lee, Dong-Hwan. 청주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