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보건

경두개직류자극(tDCS)이 조현병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메타분석

원문정보

The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on Cognitive Function in Schizophrenia : Meta Analysis

정재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tDCS for cognitive function in schizophrenia. We searched through 5 databases and analyzed RCTs published between January 2014 and June 2024. A total of 1,706 articles were retrieved, and 13 articles were finally analyzed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Risk of bias was assessed using RoB2 and meta-analyzed using CMA 4.0 ver. The overall effect size of tDCS was a small effect size(g=0.26), and when analyzed by outcome variable, working memory(g=0.47) had a medium effect size and global cognitive function(g=0.34) and executive function(g=0.31) had a small effect siz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isuospatial function, attention, or memory. There was a medium effect size for tDCS combined with other interventions(g=0.54) and a small effect size for tDCS alone(g=0.26). In all studies, the anode electrode was the left DLPF, and analysis by cathode electrode location showed small effect sizes for the right LSO(g=0.36) and left TPJ(g=0.18),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right DLPF.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ta-regression analyzed by intervention duration. This meta-analysis provides clinical evidence that tDCS has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function in schizophrenia.

한국어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의 인지기능을 위한 tDCS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5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하였으며, 2014년 1월부터 2024년 6월까지 출간된 문헌 중 무작위 대조군 실험설계를 분석하였다. 총 1,706편의 문헌 중 포함 및 배제 기준에 따라 13편의 문헌을 최종 분석하였다. 편향 위험 평가는 RoB2를 사용하였으며, 메타분석 프로그램은 CMA 4.0 ver.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tDCS의 전체 효과 크기는 작은 효과 크기(g=0.26)였다. 결과변수에 따른 분석 결과 작업기 억(g=0.47)은 중간 효과 크기, 전반적 인지기능(g=0.34)과 실행기능(g=0.31)은 작은 효과 크기였다. 시공간기능, 주의기능, 기 억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른 중재와 결합된 tDCS(g=0.54)는 중간 효과 크기, tDCS 단독(g=0.26)은 작은 효과 크기였 다. 모든 문헌에서 양극 전극은 왼쪽 DLPF이며, 음극 전극 위치에 따른 분석 결과 오른쪽 LSO(g=0.36)과 왼쪽 TPJ(g=0.18)는 작은 효과 크기였으며, 오른쪽 DLPF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중재 기간에 따른 메타 회귀분석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메 타분석은 tDCS가 조현병 환자의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임상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자료 수집
2.2 문헌의 편향 위험 평가
2.3 데이터 코딩 및 분석
3. 연구결과
3.1 편향 위험 평가 결과
3.2 분석 문헌의 일반적 특성
3.3 tDCS의 효과 크기
3.4 출판 편향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정재훈 Jae-Hun Jung.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