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욥기 21:1-7의 욥의 외상을 통해 본 목회 돌봄 프락시스

원문정보

Pastoral Care Praxis Seen Through Job's Trauma in Job 21:1-7

최창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meaning of pastoral care and the praxis of listening through understanding the psychosomatic reactions and characteristics revealed in Job's traumatic experience and arguments, focusing on Job 21:1-7. Along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 trauma and physical experience, the characteristics of Job's traumatic memories, and the mute cry contained in Job's anger, the importance of forming a listening culture in the church community is revealed through the voice that Job demanded from the community during his traumatic suffering. The psychosomatic responses to Job's trauma highlight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physical responses of people in trauma. This is because in trauma care, if we deal with anger, guilt, and sadness right away without first paying attention to the physical reactions, then the emotions may actually be strengthened. In particular, it reveals that trauma has the characteristic of starting in the body and being followed by the mind. Job's traumatic memories reveal characteristics closer to implicit memory than explicit memory. Implicit memories have the characteristic of being imprinted on the body and emotions. Therefore, it is revealed that traumatic memories can cause symptoms such as body tremors and paralysis.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while trauma may be amplified when talking about traumatic memories, there are also characteristics that are mitigated when testifying about traumatic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we propose a deconstruction response method, where people testify and experience it again in order to eliminate the emotional excess from the experience of pain. This technique reveals that it may serve to positively update traumatic memories that were originally overwhelming and led to failures in self-protection. It is emphasized that when the church community listens to the testimony of a person experiencing trauma, it is a journey of sharing their pain and learning how to cry with them.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listening to the grief and anger of people suffering from trauma. In particular, through analysis of the anger emotional system and characteristics of people suffering from trauma, we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mute crying that lie behind anger and deep emotions. It reveals that the anger of a person experiencing trauma not only contains emotions such as protest, conflict, agony, doubt, hurt, anxiety, and acceptance, but also that these emotional regist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hurch community emphasizes that when it listens to the stories and testimonies of people who are experiencing trauma, and even hears their mute cry, they too can experience post-traumatic growth like Job. Key

한국어

본 연구는 욥기 21:1-7을 중심으로 욥의 외상 경험과 논증에 나타난 정신신체 반 응과 특징의 이해를 통해 목회 돌봄의 의미와 경청 프락시스(praxis)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욥의 외상과 신체 경험의 관계, 욥의 외상 기억의 특징, 욥의 분노 감정 에 내포된 속울음(mute cry) 등에 대한 이해와 함께, 욥이 외상 고통 중에 공동체에 요구했던 목소리를 통해 교회 공동체의 경청 문화 형성의 중요성을 밝힌다. 욥의 외상에 나타난 정신신체 반응을 통해 외상 중에 있는 사람의 신체 반응에 대 한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외상 돌봄에서 신체 반응에 먼저 주의를 기울이지 않 고 바로 분노, 죄책감, 슬픔을 다루게 되면 감정은 오히려 강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외상은 몸 안에서 시작하고 마음이 뒤따르는 특성이 있다는 것을 밝힌다. 욥의 외상 기억은 명시적(explicit) 기억보다는 암묵적(implicit) 기억에 더 가까운 특징이 있다는 것을 밝힌다. 암묵적 기억은 신체와 감정에 각인되는 특징이 있다. 따 라서 외상 기억은 몸의 떨림과 마비 등과 같은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 다. 나아가 외상 기억을 이야기할 때 외상이 더 증폭될 수 있지만, 외상 경험을 증언 할 때 완화되는 특성이 있다는 것도 제시한다. 이를 위해 해체 반응 기법, 즉 고통의 경험에서 온 감정적 과도함을 없애기 위해 증언하게 하여 다시 경험하게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기법은 원래의 외상 상황에서는 압도되어서 자기 보호의 실패로 이어졌 던 외상 기억을 긍정적으로 업데이트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을 밝힌다. 교회 공동체가 외상 중에 있는 사람의 증언을 경청하는 것은 그들의 고통과 함께 하는 것이며, 그들과 함께 어떻게 울어야 하는지를 배우는 여정임을 강조한다. 본 연 구는 외상 고통 중에 있는 사람들의 애가와 분노에 대한 경청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특히 외상 중에 있는 사람의 분노 감정 체계와 특징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분노의 이 면과 심층 감정에 자리하고 있는 속울음의 특징을 밝힌다. 외상 중에 있는 사람의 분 노 감정은 항의, 논쟁, 고뇌, 의문, 상처, 불안, 수용과 같은 감정이 내포되어 있을 뿐 만 아니라 이러한 감정의 기재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밝힌다. 교회 공동체 는 외상 중에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와 증언을 경청하며, 이들의 속울음까지 들을 수 있을 때, 이들도 욥과 같이 외상 후 성장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욥의 외상 고통의 이해와 특징
1. 욥의 외상과 신체 경험의 관계
2. 욥의 외상과 기억의 관계
3. 욥의 외상과 감정 체계의 관계
4. 욥의 외상과 경청의 관계
III. 외상 고통과 목회 돌봄 프락시스
1. 외상의 신체적 증상과 교회의 경청
2. 외상의 기억 증언과 교회의 경청
3. 외상의 감정 체계와 교회의 경청
4. 외상 고통과 교회의 경청 실천 방안
I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창국 Choi, Chang-Guk. 백석대학교 교수 / 실천신학 / 영성과 목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