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역교회 개척자 인식조사 분석을 통한 선교적 통찰 및 정책 제언 - 기독교대한감리회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Missional insights and policy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survey analysis for the church planter’s perception - focusing on the Korean Methodist Church -

황병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s a follow-up to “A Study on Christian Faith Community contributing to Local Community”, explored whether local church planters in Korea also have a missional church perspective, and based on the missional insights gained from a research to their perspective on the missional church, the researcher recommends the following 10 policies for local church planting: 1) The local church planter needs to have a missional ecclesiology. 2) The local church planter must accurately identify the needs of the community. 3) The local church planter should extend his or her ministry to the community outside the church. 4) The local church planter needs to be actively involved in solving community problems. 5) The local church planter should be active in forming partnerships with community leaders. 6) The local church planter should develop a network of relationships with other churches/denominations. 7) A church planting incubator for local church planters is needed. 8) There should be a support system for the newly planted church. 9) A local church planting manual is needed. 10) The publicness of the local church should be strengthened. If newly planted churches in Korea view the local community as a mission field, embrace the community beyond the walls of the church, and respond holistically to the needs of the community in pursuit of God's reign in the community, the church will not only contribute to the community, but also lead the community in the right way.

한국어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기독교 신앙공동체 연구’의 후속 작업으로 한국 지역사회에 기독교 신앙공동체를 세워가는 개척자들이 선교적 교회의 관점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밝히고, 이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 얻은 선교적 통찰을 근거로 지역교 회 개척을 위한 정책을 다음 10가지로 제언하였다. 1) 지역교회 개척자가 선교적 교 회론을 가지고 개척하도록 도와야 한다. 선교적 교회론은 하나님 나라 중심의 교회론 으로 교회를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선교적 도구라고 이해하고 성도들로 하여금 지역사회 안에서 선교적 삶을 살도록 독려하기 때문에 오늘 한국교회에 꼭 필요한 교 회론이다. 2) 지역교회 개척자는 지역사회의 필요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선교적 교회는 교회가 서 있는 지역사회가 선교지라고 보기 때문에 교회 개척자들에게 지역 사회에 대한 이해는 필수사항이다. 3) 지역교회 개척자는 목양의 대상을 교회 밖 지 역사회로 확장시켜야 한다. 전통적인 교회는 성도들을 교회안에 머물게 하고 그들을 위한 교회가 되고자 하지만 선교적 교회는 성도들을 교회 밖 지역사회로 파송하면서 목회 영역을 지역사회로 확장한다. 4) 지역교회 개척자는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 는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선교적 교회는 지역사회와의 담을 헐고 지역사회속으로 성육신하는 교회이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문제가 곧 교회의 문제이고, 지역주 민들의 관심사가 교회의 관심사가 된다. 5) 지역교회 개척자는 지역사회 리더들과 협 력관계를 형성하는데 적극적이어야 한다. 선교적 교회는 지역사회의 변혁을 위해 지 역사회 리더들과 소통하는 일을 중요하게 여긴다. 특히 지역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면서 지역사회의 문제들을 함께 해 결하기를 원한다. 6) 지역교회 개척자는 타교회/교단과 상호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해야 한다. 지역교회 복음화와 사회문제 해결은 지역의 한 교회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따라서 하나님의 나라가 이 땅에 실현될 수 있도록 지역 교회들은 서로 연합하고 협 력해야 한다. 7) 지역교회 개척자를 위한 개척 인큐베이터를 운영해야 한다. 갈수록 교회개척이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교단은 ‘개척 인큐베이터’를 신설하여 교회 개 척자들을 체계적으로 준비시켜야 한다. 8) 개척교회 지원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 개척 된 지역교회가 자생, 성장할 수 있도록 교단 차원에서 지역의 거점교회를 중심으로 물적, 인적, 목회적 자원들을 지원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9) 지역교회 개척 매뉴얼이 필요하다. 교단 차원에서 이런 개척교회 매뉴얼을 만들어 제공할 필요가 있다. 특히 개척 매뉴얼에는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개척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 용이 들어가야 한다. 10) 지역교회의 공공성을 강화해야 한다.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선 교적 교회가 되기 위해서는 성도들로 하여금 공공의 삶속에서 제기되는 전반적인 문제 들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오늘날 새롭게 개척되는 지역교회들이 지역사회를 선교지로 여기고, 교회의 담을 넘어 지역사회 전체를 품고, 지역사회에 임 하는 하나님의 통치를 추구하면서 지역사회의 필요에 총체적으로 응답한다면, 교회는 지역사회에 공헌할 뿐 아니라 지역사회를 더 옳은 방향으로 인도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선교적 교회의 7 핵심 요소
III. 지역교회 개척자 인식조사 분석
1. 기본정보
2. 응답분석
IV. 선교적 통찰 및 개척 정책 제언
1. 지역교회 개척자가 선교적 교회론을 가지고 개척하도록도와야 한다.
2. 지역교회 개척자는 지역사회의 필요를 정확하게 파악해야한다.
3. 지역교회 개척자는 목양의 대상을 교회 밖 지역사회로 확장시켜야 한다.
4. 지역교회 개척자는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5. 지역교회 개척자는 지역사회 리더들과 협력관계를 형성하는데 적극적이어야 한다.
6. 지역교회 개척자는 타교회/교단과 상호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해야 한다.
7. 지역교회 개척자를 위한 개척 인큐베이터를 운영해야 한다.
8. 개척교회 지원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
9. 지역교회 개척 매뉴얼이 필요하다.
10. 지역교회의 공공성을 강화해야 한다.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병배 Hwang, Byung-Bae. 협성대학교 교수 / 실천신학 / 선교학

참고문헌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