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발표 - 논문 2>

전기차 화재사고 원인분석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the era of electric vehicles has arrived, but one fear is holding consumers back. It's a fire hazard. Videos of several recent electric car accidents, which show red flames engulfing vehicles in an instant, have caused hesitancy for buyers and worries for manufacturers and safety authorities. The cause and solution eventually results in a 'battery'. Lithium-ion batteries are mainly used in electric cars. Damage is done to the separator separating the anode material and the cathode material,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the battery, causing excessive short-circuit current to flow and high fever to be generated, leading to a fire. Electric vehicle batteries are manufactured by combining hundreds of battery cells. A "thermal runaway"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temperature quickly rises as the fire in one cell spreads to the next.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the field of electric vehicle fire prevention and fire cause investigation by analyzing the initial ignition point of the recent electric vehicle fire statistics, driving, parking, and charging situations, and battery manufacturers.

한국어

최근 전기차의 시대가 도래하였지만 한 가지 두려움이 소비자들의 발목을 붙잡고 있다. 화재위험이다. 붉은 화염이 차량을 순식간에 집어삼키는 장면이 담긴 최근 몇 건의 전기차 사고 영상들은 구매 의향자들에게는 주저함을, 제조회사와 안전 당국에는 고민거리를 안겨 주고 있다. 그 원인과 해결책은 결국 ‘배터리’로 귀결된다. 전기차에 주로 쓰이는 배터리는 리튬이온전지다. 배터리의 주요 성분인 양극재와 음극재를 분리하는 분리막에 손상이 가해 져 두 극이 서로 만나게 되면 과도한 단락전류가 흐르고 높은 열이 발생해 화재로 이어진다. 전기차 배터리는 수백 개 이상의 배터리 셀을 결합해 제작한다. 한 곳의 셀에 붙은 불이 옆 에 있는 셀로 번지며 빠르게 온도가 오르는 ‘열폭주’ 현상이 빚어진다. 최근 발생한 전기차 화재 통계의 최초 발화점과 주행, 주차, 충전 중인 상황별 그리고 배터리 제조사별로 분석 하여 전기차 화재 예방과 화재 원인조사 분야에서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도별 전기차 화재 발생 통계 분석
1) 최초 발화점 분석
2) 주행 중, 주차 중, 충전 중 등 상황 분석
3) 배터리 제조사별 분석
4) 2018년 전기차 화재 발생 건수(3건)
5) 2019년 전기차 화재 발생 건수(5건)
6) 2020년 전기차 화재 발생 건수(12건)
7) 2021년 전기차 화재 발생 건수(15건)
8) 2022년 전기차 화재 발생 건수(33건)
9) 2023년 전기차 화재 발생 건수(47건)
10) 2024년 전기차 화재 발생 건수(상반기, 24건)
3. 전기차에 충격을 줄 수 있는 도로 환경
1) 주차 중 전기차 화재 사례
2) 전기차 화재 예방 최후의 보루 BMS 역할
3) 전기차 배터리 화재는 단락 사고를 막아야 예방할 수 있다.
4)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기술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만건 Kim-Man Geon. 이플러스에너지화재연구소(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