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Investor Trading and Intermediate Prospect Theory Value in Cross-sectional Expected Returns
초록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주식시장에서 투자자 유형별 매수·매도 거래행태가 과거 중기 전망이론가치와 기대 수익률 간의 양(+)의 관계를 이끄는 영향요인인지를 실증적으로 조사했다. 과거 12개월 주식수익률 분포로부터 추정된 중기 전망이론가치 포트폴리오의 투자전략은 미래 보유기간에서 유의적인 양(+) 의 투자성과를 실현했다. 투자자 유형별 거래행태 측정치는 개인투자자, 기관투자자, 외국인투자자 각각의 매수·매도 거래자료로부터 산출했다. 투자자 유형별 거래행태를 통제했을 때, 중기 전망이 론가치 포트폴리오의 예측능력은 기존연구에서와 같이 개인투자자의 높은 거래활동에 유의적인 영 향을 받았고, 흥미로운 발견은 외국인투자자의 높은 거래활동도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다. 관찰된 영향력 정도는 개인투자자의 높은 거래활동이 외국인투자자의 높은 거래활동에 비교하 여 높았다. 기관투자자의 높고 낮은 거래활동은 차별적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한편, 중기 전망 이론가치 포트폴리오의 예측능력에 대한 개인투자자와 외국인투자자 각각의 높은 거래활동은 서로 대조적인 순매수·순매도거래에 기인했다. 즉, 전망이론가치 포트폴리오에 있어서 높은(낮은) 전망이 론가치 포트폴리오에 대한 개인투자자의 높은 거래활동은 순매도(순매수)거래에 의존하는 반면에, 외국인투자자의 높은 거래활동은 순매수(순매도)거래에 의존했다. 이는 성공적 투자전략 관점에서 외국인투자자의 거래활동이 중기 전망이론가치 포트폴리오의 예측능력에 일치하는 매수·매도거래라 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투자자 유형별 매수·매도 거래자료를 이용하여 행동 재무적 관점에서 중기 전망이론가치 포트폴리오의 예측능력을 실증적으로 입증한 본 연구의 차별적 기여는 향후 연 구들의 심층적 검증을 이끌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1. 서론
2. 실증설계
2.1 자료와 기간
2.2 측정치: 전망이론가치
2.3 측정치: 투자자 거래행태
3. 실증결과
3.1 전망이론가치 포트폴리오
3.2 투자자 거래행태에 대한 조건부 전망이론가치 포트폴리오
4. 결론
참고문헌
Table
Fig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