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퇴행성 슬관절염의 동방활법과 도인양생공 시술을 통한 기능 운동 효과

원문정보

Effect of exercise treatment through Dong Bang Hwal Bup and dao in yang seng gong in degenerative knee arthritis

이진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 date, many studies of conservative and operative treatment for knee pain have been researched. As one of surgical meth-ods, in 1994, Thomson tried quadricepsplasty that has been used up to date, but it relates to a wide scope of body, and also requires long-term treatment for physical rehabilitation. Knee joint is important one that supports the body weight, and it make the movement of joints more flexible because it is located at the point where femur and tibiameet. It also distributes and blocks impact due to meniscus. After the middle age, however, the metabolism of articular cartilage is likely to get worse, so that it makes the cracks of cartilage and the pain by hardening. In this paper, we thought the factor of knee joint pain are the life style of patients and the internal organ and Meridian System of dongbanghwalbup It is known that dongbanghwalbup includes the good techniques for treatingjoints and muscles. dao in yang seng gong a kind of stomatics, is also helpful to im-prove strength and function of muscles, to balance the left and right of the body, and to treat the degenerative knee joint. We got the result that the method of treating knee joint using dongbanghwalbup as well as keeping and strengthening the power of muscles using dao in yang seng gong is useful to treat and prevent from the recurrent of them.

한국어

현재까지 슬관절통의 치료는 슬관절의 운동범위 증진을 위한 보존적 요법 및 수술적 치료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수술적 방법으로는 1944년 Thompson이 대퇴사두근 성형술을 시도하여 현재까지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수술 자체가 너무 광범위하고 또 수술 후 상당기간의 고정 및 물리치료를 요하며 특히 슬관절 부분강직이 가장 많은 원인을 제공하는 관절내 유착을 관형적 방법으로 치료한 후에 통증이 심하여 조기에 관절운동을 시작하지 못함으로써 재 유착을 일으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슬관절은 체중을 지탱하는 중요한 관절로서 대퇴골과 경골이 닿는 부위에 연골이 있어 관절의 움직임을 유연하게하고, 또 반월상연골이 있어 충격을 분산시키고 막아내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중년 이후가 되면 관절연골의 신진대사가 나빠져 연골에 균열이 생겨 그 부위가 굳어져서 통증이 발생 한다. 본 연구에서는 슬관절통이 발생되는 기전을 평소환자들이 갖고 있는 습관과 동방활법의 장부기능과 결(경락)에서 발생을 한다고 생각을 하였다. 동방활법은 관절과 근육을 다루는 좋은 기술을 갖고 있으며, 기공요법인 도인얀생공은 근력 강화 및 근 기능 향상, 신체의 좌우 균형을 바로잡는데 큰 역할을 함과 동시에 퇴행성 슬관절의 치료에 상당한 도움을 준다는 것이 정설이다. 이에 동방활법에서 슬관절통을 다스리는 방법과 도인양생공에서 이를 유지하고 근력을 강화시키는 방법을 동시에 실시함으로 말미암아 슬관절통의 치료와 함께 재발을 방지하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및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진우 Lee, Jin-Woo. 명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