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엔드로지니 패션속성인지 및 수용태도에 관한 연구 : 상하이 대학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Androgyny Fashion Attributes Based on Gender Role Identity : Focusing on Shanghai University Students

장영자, 이영숙

초록

영어

The Internet of Things(IoT) monitors the status of fashion items in the fashion field, or is particularly useful in fields that require various styles and functions, such as Androgyny fashion. In recent years, as social culture is constantly changing around the world, individual sexual identity and values have been protected and respected. As the way of expressing the identity of gender roles in fashion is diversified, the traditional clothing style of the dichotomous concept of gender between men and women is gradually broken, showing the diversification of the way of expressing gender. In accordance with these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this paper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identity, Androgyny fashion attribute recognition, and acceptance attitude for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Shanghai, China based on gender role identity. For the research method, a total of 371 questionnaires were surveyed online from June 20 to June 27, 2024. Among them, 360 copies, excluding in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the analysis, SPSS 26.0 was us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gender role identity of Shanghai University students in China, it was classified into the cisgender group, the transgender group, the gender-fluid group, and the agender group. Second, perceptions of Androgyny fashion attributes were classified into five dimensions: perceiving aesthetic attributes, perceiving self-expression attributes, perceiving gender deconstructing attributes, perceiving emotional attributes, and perceiving utility attribut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erceptions of Androgyny fashion attributes across different gender role identitie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attitude of acceptance of Androgyny fashion according to the gender role identity. And among them, the gender-fluid group had the most positive attitude toward Androgyny fashion, and the cisgender group had the lowest attitude toward acceptance. From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gender role identity indirectly affects acceptance attitudes through Androgyny fashion recognition.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fashion companies should pay attention to changes in consumers' gender role identity and adopt appropriate marketing strategies to have a more positive acceptance attitude toward Androgyny fashion.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identity and Androgyny fashion, thereb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methods of creative expression and fostering flexible thinking in fashion design. Moreover, the study seeks to promote a more inclusive fashion culture by offering valuable insights into gender diversity representation within the fashion industry.

한국어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패션분야에서는 패션아이템의 상태를 모니터링을 하거나, 앤드로 지니 패션처럼 다양한 스타일과 기능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전세계적으로 사회 문화가 끊임없이 변화하면서 개인의 성적 정체성과 가치관이 보호와 존중을 받게 되었다. 패션에서도 성역할의 정 체성을 표현하는 방식이 다양화되면서 전통적인 남녀의 이분법적 성 개념의 의복스타일이 점차 파괴되면서 젠더 에 대한 표현방식에서 다양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사회환경적 변화에 따라 본 논문은 중국 상하이 지역에 재 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역할 정체감을 바탕으로 성역할 정체감과 엔드로지니 패션속성인지와 수용태도 간 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2024년 6월 20일부터 6월 27일까지 총 371부의 설문지를 온라인 조사를 실시 하였다. 이 가운데 유효하지 않는 설문지를 제외한 36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 26.0를 사용하 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상하이 대학생들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시스젠더 그룹, 트랜스젠더 그룹, 젠더플루이드 그룹, 에이젠더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엔드로지니 패션속성인지는 미적 속성인지, 자기표 현성 인지, 성별 재구성의 속성 인지, 감정적 속성 인지, 실용적 속성 인지의 5가지 인지 차원으로 분류되었으며, 서로 다른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엔드로지니 패션속성인지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 역할 정체감에 따라 엔드로지니 패션에 대한 수용태도에 그룹별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그 가운데 젠더플 루이드 그룹은 엔드로지니 패션에 대한 수용태도가 가장 긍정적이었으며, 시스젠더 그룹의 수용태도가 가장 낮았 다. 이런 결과로 볼 때 성역할 정체감은 엔드로지니 패션속성인지를 통해 간접적으로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엔드로지니 패션제품을 기획 및 생산하는 패션기업은 소비자의 성역할 정체감 변화에 주목하고 확산되고 있는 엔드로지니 패션에 대해 더욱 긍정적인 수용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적절한 사회환경 및 마케팅 전략을 구상하여야 할 것으로 여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역할 정체감과 엔드로지니 패션 간의 관계를 밝 혀, 패션디자인에 있어 창의적 표현방법 및 유연한 사고를 하는데 도움을 주고 이와 동시에 더욱 포용적인 패션문 화 환경을 조성하고 패션 분야에서의 성별 다양성 표현에 대한 정보제공에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성역할 정체감
2.2 엔드로지니 패션속성인지
2.3 수용태도
Ⅲ. 연구모형 및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3.2 연구가설
3.3 연구도구
Ⅳ. 실증분석
4.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2 기술통계
4.3 신뢰도 검증
4.4 타당성 분석
4.5 가설 검증
Ⅴ. 결론 및 제언점
5.1 결론
5.2 제언점
REFERENCES

저자정보

  • 장영자 ZHANG YINGZI. 동명대학교 대학원 패션디자인학 전공
  • 이영숙 Young-Sook Lee. 동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교수

참고문헌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