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s of an Animal-Assisted Activity Play Technique Program on the Self-Efficacy and Biopsychology of the Elderly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n Animal-Assisted Activity program on self-efficacy and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in elderly individuals.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program was conducted 10 times, once a week for 50 minut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an experimental group of 10 individuals and a control group of 10 individuals, all of whom were 65 years or older and met the selection criteria.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were the Self-Efficacy Scale and psychophysiological tests.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26.0. A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homogeneity between the groups, and it was confirmed that both groups were homogeneous. To examine the pre- and post-intervention changes between the groups, a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Animal-Assisted Activity program, exhibited significantly more positive changes in self-efficacy and psychophysiological scor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ims to provide empirical data for elderly welfare by supporting the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 of elderly individuals through the application of an Animal-Assisted Activity program.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대상으로 한 동물교감활동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생체심리에 미치는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프로그램은 10회기, 주 1회 50분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65세 이 상으로 선정 기준에 부합한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도구는 자기효능감 척도, 생체심리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 SPSS 26.0을 이용하였다. 집단 간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Mann- Whitney U 검정을 진행하였고 두 집단은 동질한 집단임을 나타냈다. 집단 간의 사전·사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Wilcoxon signed-rank test을 통해 검증한 결과, 통제집단에 비해 동물교감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에서 자기효능감 과 생체심리의 점수가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동물교감활동 프로그 램을 적용한 노인의 신체적, 정서적 건강 구축을 위한 노인 복지 차원의 실증적 자료 제공을 하고자 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1 문제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윤리적 고려
2.5 분석 방법
2.6 프로그램 재구성
Ⅲ. 연구 결과
3.1 동질성 검증
3.2 집단 간 자기효능감 사전·사후비교
3.3 집단 간 생체·심리 사전·사후비교
Ⅳ. 결론 및 논의
4.1 결론
4.2 논의 및 제언
4.3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