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Case Study on Remote Course Design :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qualitative aspects of learning experience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a remote learning environment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study analyzed selfreflection reports and open-ended responses from course evaluations provided by 96 students enrolled in the “Introduction to Psychology” general education course at a university in the Chungcheong reg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interaction, sense of presence, motivation, and engagement in remote classes significantly impact learning outcomes and satisfaction. Notably, communication-centered classes through real-time video lectures and interactions utilizing various online tools contributed to increased student engagement and satisfaction. Additionally, activities such as self-reflection reports served as valuable tools for deepening learning and encouraging self-reflection. The positive psychology approach was also found to play a crucial role in enhancing students’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suggests that strategic approaches to strengthening interaction, enhancing the sense of presence, and promoting motivation and engagement are essential in the design of remote courses.
한국어
이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비대면 수업환경에서 대학생들이 경험한 학습의 질적 요소를 탐구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충청권 A 대학교의 「심리학의 이해」 교양과목을 수강한 대학생 96명을 대상으로 자기성찰 보고서와 강의평가 학생 서술형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면 수업에서 상호작용, 실재감, 학습 동기 및 참여 촉진이 학생들의 학습성과와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간 화상 수업을 통 한 소통 중심의 수업과 다양한 비대면 교수 방법 및 도구를 활용한 상호작용이 학습자의 몰입과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였다. 또한, 자기성찰 보고서와 같은 활동은 학생들이 학습 내용을 심화하고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유 용한 도구로 작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긍정심리학적 접근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심리적인 취약상태에 있었던 대학 생들의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건강을 증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 연구는 비대면 수업 설계 시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과 실재감을 강화하고,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전략적 접근 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교수 실재감과 학습 실재감의 영향 관계
2.2 긍정심리자본과 교수 실재감, 학습 실재감간의 영향 관계
Ⅲ. 연구 방법
3.1 연구 설계
3.2. 수업 설계
3.3. 분석 방법
3.4. 연구자 질적 연구 준비도
Ⅳ. 연구 결과
4.1. 비대면 심리학 수업에서 대학생 학습경험
Ⅴ. 결론 및 논의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