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News Avoidance Study on Climate Change and Low Fertility Rate・Aging Society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news fatigue, policy involvement, and policy knowledge level on news avoidance related to major policies in the country. For this purpose, data of 480 respondents using Internet portal news were collected by web panel survey metho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news fatigue, policy involvement, and policy knowledge on news avoidance, the effects of news fatigue and involvement, were significant in both climate change and low birthrate and aging society. In the case of climate change issues, the effect of policy involvement on news avoidance was greater than the effect of news fatigue on news avoidance. The level of knowledge was not significant. In the process of news fatigue affecting news avoidance, the moderating effect of policy involvement, was significant in both iss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f the authorities focus too much on the amount or frequency of policy news, it causes citizens' news fatigue and prevents news acceptance of major policies. In order to reduce news avoidance when news is flooded, publicity activities are needed to increase citizen involvement in policy issues.
한국어
본 연구는 국가의 주요 정책에 대한 뉴스 피로, 정책 관여, 정책 지식수준이 해당 정책에 대한 뉴스 회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인터넷 포털 뉴스를 이용하는 전국 성인 남녀 480명의 데이터를 웹 패널 설문조사 방법으로 수집하고 분석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뉴스 피로, 정 책 관여, 정책 지식이 뉴스 회피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기후변화 와 저출산・고령화 이슈 모두에서 뉴스 피로와 정책 관여는 뉴스 회피에 유의미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 이슈의 경우 정책 관여가 뉴스 회 피에 미치는 영향이 뉴스 피로가 뉴스 회피에 미치는 영향보다 더 크게 나타났 다. 지식수준과 뉴스 회피는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기후변화와 저출 산・고령화 이슈 모두 정책 관여는 뉴스 피로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뉴스 피로가 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낮추는 조절 변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 결과는 정책소통 과정에서 보도 양이 과도하면 뉴스 피로를 일으 켜 오히려 주요 정책에 대한 뉴스 수용을 저해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뉴스의 홍 수 속에서 뉴스 회피를 낮추기 위해서는 정책 이슈에 대한 시민 관여를 높일 수 있는 퍼블리시티 활동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목차
1. 문제제기
2. 선행 연구
1) 뉴스 피로, 뉴스 회피
2) 지식・관여와 정책소통
3) 이슈: 기후변화, 저출산・고령화
3. 연구문제
4. 연구방법
1) 자료수집
2) 조작적 정의와 측정
5. 연구결과
1) [연구문제 1] 분석 결과
2) [연구문제 2] 분석 결과
6.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