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Intention to Use: Focused on Perceived Perception Mediating Effect
초록
영어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caused controversy, deriving from its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throughout its proliferation. Faced with a future society where AI technology and humans coexist,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studying the indispensable factors and effects from the user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nfluence of perceived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I literacy level and intention to use of AI. The study develops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by using data from the survey of CSES(Center for Social value Enhancement Studies) on the impact of AI in 2023 and conducts empirical analysis. A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improvement of AI literacy level and the increase of perceived perception, categorized into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impact, significantly affect the intention to use of AI technology. The study statistically identifies that the perceived perception h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the mediating role, when AI literacy level influences the intention to use. This research serves as a basis for establishing policies and strategies for reducing the AI literacy gap and polarizing issue by highlighting the improvement of AI literacy and perceived perception and intention to use of AI technology.
한국어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 AI) 기술이 사회 전반적으로 확산하고 있으 며, 이로 인한 긍정·부정 영향이 상충하고 있다. AI 기술과 인간이 공존할 미래사회에서 사용자 관점에서 필수 불가결한 요소와 영향력 연구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AI 리터러시 수준과 사용의도 간에 지각된 인식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2023년 사회적가치연구원의 AI 영향에 대한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술 수용모델(TAM :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기반으로 연구모델을 개발 하고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AI 리터러시 수준 향상과 지각된 유용성, 사용 용이성 및 영향력으로 구분될 수 있는 지각된 인식의 증대가 AI 기술의 사용의도에 유 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I 리터러시 수준이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지각된 인식이 매개 역할을 통한 간접효과를 일으키는 것으로 통계적으로 확인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AI 리터러시 수준과 지각된 인식을 향상시키고 AI 기술 사용의 도롤 높여 궁극적으로 AI 리터러시 격차 해소 및 양극화 이슈에 대한 정책 수립 및 전략 을 수립하는 기반이 되도록 하였다.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자료 및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