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 Analysis to prevent the pursuit of private interests by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Usurpation of Corporate Opportunity
초록
영어
In 2011, the Commercial Act revised Article 397-2 and introduced a system to regulate the usurpation of corporate opportunity. This is a stipulation by introducing the legal principle of prohibiting the usurpation of corporate opportunity, which has been developed under U.S. case law, into the commercial law. The purpose of the legislation was to regulate unfair practices in which controlling shareholders defrauded private interests through the usurpation of corporate opportunity.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operly regulate the private interest-seeking behavior of controlling shareholders because the prohibition on the usurpation of corporate opportunity stipulates only directors and executive officers within the scope of its application. Therefore, it would be desirable to supplement the provisions of Article 397-2 of the Commercial Act to legislate in a prestigious manner to include controlling shareholders in order to efficiently regulate controlling shareholders' private interests through the usurpation of corporate opportunity. In this regard, there are many opinions to introduce the duty of faithfulness of controlling shareholders for effective regulation. Therefore, I would like to propose a plan to apply the prohibition of the use of company opportunities, which is part of the duty of loyalty to controlling shareholder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and to directly add "controlling shareholders" to Article 397-2 of the Commercial Act. In addition to legislative measures, in order to efficiently prevent controlling shareholders from the usurpation of corporate opportunity, an internal control system such as establishing an independent board of directors and establishing an audit committee should be supported. Therefore, we will also look at ways to strengthen corporate legal control measures to escape the influence of controlling shareholders. In addition, at this point in time when the law should be formed by judges, the Supreme Court's passive attitude to acquit by applying the business judgment principle to cases of the usurpation of corporate opportunity was regrettable, so after reviewing precedents, we reviewed legal judgments on corporate activities. I am going to look into the plan so that it can be done well within the big frame of harmony between this 'duty of loyalty' and 'business judgment rule’. If the business judgment rule is widely recognized, there is a concern that it will be difficult to effectively hold legal responsibility for illegal acts, and if the judiciary's strict judgment is not supported, it will be difficult to effectively regulate controlling shareholders even if the improvement measures suggested above are realistically implemented. . As a result, although the legislative plan of Article 397-2 of the Commercial Act may be accompanied by practical difficulties, it is still the most controversial part, and as the number of cases of exploitation of company opportunities by controlling shareholders increases, legislation to hold the controlling shareholder independently responsible A theoretical solution is considered necessary. Therefore, we hope that the legislative solution will be well implemented, and that the system will be well established in a more developmental direction by supplementing the regulations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the company's profits through thorough management.
한국어
2011년의 개정상법은 제397조의2를 신설하여 회사기회의 유용에 대한 규제제도를 도입하였다. 이는 미국 판례법상 발전되어 온 회사기 회 유용금지의 법리를 상법에 도입하여 명문화한 것으로, 그 주된 취 지는 지배주주, 특히 기업집단에서의 총수 일가가 회사기회유용을 통 하여 사적이익을 편취하는 불공정한 행위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회사기회유용금지규정은 그 적용대상 범위에 이사와 집행임원 만을 규정하고 있어 지배주주의 사익추구 행위를 제대로 규제하기 어 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당초의 입법 의도대로 대기업이나 총수일가로의 경제력 집중 을 억제하여 지배주주의 회사기회유용을 통한 사익추구 행위를 효율적 으로 규제하기 위해서는 상법 제397조의2의 규정을 보완하여 해당 규 정의 적용대상을 지배주주까지 포함하도록 명문으로 입법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효과적인 규제를 위하여 지배주주의 충실의무를 도입하자는 의견도 많기에 비교법적으로 미국, 독일과 같 이 지배주주에게도 충실의무를 부과하여 충실의무의 일환인 회사기회 유용금지 규정을 적용하는 방안과 상법 제397조의2에 명문으로 ‘지배 주주’를 직접 추가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입법론적 방안 외에 효율적으로 지배주주의 회사기회 유용을 억제하 기 위해서는 그와 더불어 지배구조 개선을 통한 독립된 이사회 구축 및 감사위원회 설치 등 내부통제시스템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따 라서 지배주주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기 위한 회사법적 통제수단 강화를 위한 방안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법관에 의한 법 형성이 이루어져야 할 이 시점에 회사기회유 용 사례에 대하여 경영판단원칙을 적용하여 무죄 판결을 하는 대법원 의 소극적 태도에 대하여는 다소 아쉬움이 있기에 판례에 대한 검토를 통해 기업활동에 대한 법적 판단이 ‘충실의무’와 ‘경영판단의 원칙’ 간 의 조화라는 큰 틀 속에서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방안에 대해 살 펴보려고 한다. 판례와 같이 경영판단의 원칙을 폭넓게 인정하게 되면 위법 행위에 대하여 법적 책임을 효과적으로 묻기 어렵다는 우려가 있 고, 사법부의 엄정한 판단이 뒷받침되지 못한다면 앞서 제시한 개선방 안들이 현실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지배주주를 효과적으로 규제하기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상법 제397조의2의 입법론적 방안이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를 수 있겠으나, 여전히 가장 큰 쟁점으로 논의되는 부분이고 지배 주주의 회사기회유용 사례가 늘어남에 따라 지배주주에 대한 독자적인 책임을 묻기 위한 입법론적 해결이 필수적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입 법론적 해결이 잘 실천되기를 바라며 더불어 기업에서도 내부통제시스 템을 잘 구축하여 철저한 관리를 통해 회사의 이익을 높이는 방향으로 해당 규정을 잘 보완하여 더욱 발전적인 방향으로 제도가 잘 자리 잡아 갈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목차
Ⅱ. 상법상 회사기회유용금지
Ⅲ. 지배주주의 회사기회유용을 통한 사익 추구방지를 위한 방안
Ⅳ. 회사기회유용 관련 대법원 판례 검토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